[소재부품 초일류 꿈꾼다]인터뷰-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장

“한국 디스플레이가 다른 나라들과 격차를 벌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초 기술에 대한 투자를 해야 합니다. ”

지금은 넘볼 자가 없는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 하지만 장진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장은 그 지위가 불안하다고 강조한다.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연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미래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원천 기술 연구개발(R&D)이 필수적이다. 바로 원천 기술에 대한 투자가 미흡한 대목이 우려스럽다.

장 학회장은 디스플레이 분야 R&D가 원천 기술이 아닌 제품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데 안타까움을 표했다. 오히려 10여년전 LCD 1위를 목표로 할 때에는 G7프로젝트를 통해 대형 산학연 R&D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한국이 앞서 있다는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 OLED) 분야에 대한 기술 투자는 당면 과제다. AM OLED가 지금의 위상에 올라설 수 있었던 것은 지난 2000년대 초반 정부 주도로 산학연이 함께 머리를 맞댄 덕이 크다. LCD가 꽃 피기 시작하던 때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AM OLED를 지목하고 기반 장비와 부품 개발을 시작했던 것이다.

이제 AM OLED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으니 혁신적인 양산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한국이 많이 뒤쳐진 소재 기술에도 투자가 필요하다. 패널 부문에서는 확실하게 기선을 잡았지만 소재나 장비 분야는 아직도 일본이 앞선다. 시장에서 일본이 밀려났지만 아직도 일본을 무시할 수 없는 이유다. 기초기술과 전후방 연관산업이라는 기반이 없다면 1등을 유지할 길은 없다.

그는 “일본 산업의 입지가 흔들리면서 그 기초 일본의 기초 기술이 대만과 중국으로 흘러들고 있다”며 “지금은 중국과 대만의 기술력이 낮다고 하지만 일본의 기술력과 결합했을 때 어떤 힘을 발휘할지 알 수 없다”고 걱정했다.

이어 “확실한 입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후방 산업 기반이 확실하게 자리잡아야 한다”며 “R&D 차원에서는 AM OLED 이후에 대한 고민도 서서히 하기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지나친 경쟁은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소형 제품 양산이 자리를 잡은 지 얼마 되지도 않아 55인치에 달하는 대면적 출시경쟁을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손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이다.

장 회장은 “치열한 경쟁은 산업에 활기를 주기도 하지만 급하게 진행하다 보면 탈이 날 수 있다”며 “AM OLED 대면적에 대한 경쟁도 점차 크기를 키워가며 단계를 밟아가는 것이 더 확실하게 기술력을 다질 수 있는 길”이라고 지적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