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64%, 중소기업 67%, 벤처기업 74.8%.`
이 수치는 지식경제부가 지난해 중견·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자체 설문 조사해 연말께 내놓은 연구개발(R&D) 인력 부족 호소 기업 비율이다.
정부가 올해 이러한 애로사항을 해소함으로써 이들 기업을 글로벌 중견·중소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기술 인력 지원을 한층 강화하고 지원 시스템에 변화를 주기로 했다. 지난 2011년 기준으로 지경부 전체 R&D사업 비중의 5.56%(5개), 전체 예산 비중의 3%(1140억원)를 차지하는 산업전문 인력 역량강화, 기술 혁신형 기업 기술인력 지원 등 인력 양성 사업의 효율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무역 1조달러 시대를 열었지만 중견·중소기업군이 취약한 첨탑형 산업 구조를 지닌 탓에 우리나라 경제 구조가 여전히 대외 충격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국가 경제 허리 격인 중견·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인력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지난 2008년 출하액 기준으로 48개 대기업이 우리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7%에 달할 정도로 대기업 의존도가 심하다.
정부는 중견·중소기업 R&D 인력 지원 규모를 올해 3.7%에서 오는 2015년 4.4% 비중으로 늘린다. 기업의 우수 인재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석·박사급 이상 연구인력 채용을 해야만 사업 참여가 가능한 채용조건부 R&D 과제를 신설하기로 했다.
지경부는 미 조지아공대와 함께 추진하는 `글로벌 기술경영(MOT) 해외학위과정 지원 사업`에 변화를 주기로 했다. 올해부터 중견·중소기업에 재직하는 기술 인력을 파격적으로 우대하기로 한 것이다. 중견·중소기업 재직자를 50%까지 우선 선발하고 학비 전액 외에도 약 1만달러의 체재비까지 지원하는 등 실질적인 도움을 줘 글로벌 기술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2010년과 2011년에 총 67명을 선발했지만 혜택을 본 중견·중소기업 인력은 12명에 불과했다. 게다가 학비만 지원하는 데 그쳐 중견·중소기업 입장에서 이 사업은 `그림의 떡`이었다.
기술 혁신형 중견·중소기업 인력 지원 사업도 개선한다. 연구개발·현장 경험이 풍부한 출연연 연구인력을 중견·중소기업에 3년간 파견해 혁신역량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10년 처음 도입했지만 출연연 연구원의 파견 기피로 부진한 편이다. 정부는 2010년 131개 기업(189명) 2011년 70개 기업(71명)을 지원한 바 있다.
지경부는 이에 출연연 연구 인력의 기업 파견을 의무화하고 성과포상 제도를 도입하는 등 실질적인 파견을 유도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할 계획이다. 연구 인력과 기업 간 인력 지원 미스 매칭 비율을 줄이기 위해 대학·출연연 등과 연계해 산업 기술 인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기술 혁신형 중견·중소 인력 지원 사업에 대한 기업과 연구 인력의 만족도를 높이기로 했다.
정부는 현장 맞춤형 산업인력 양성 사업도 강화한다. 산업단지 내 QWL(Quality of Working) 캠퍼스를 중심으로 마이스터고·특성화고 학생의 재학-취업-진학으로 이어지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기업이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기술인력을 양성한다.
이 밖에 중소기업 기술 인력이 대학 주말·야간 과정에 진학해 혁신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중소기업형 계약학과 운영사업` 규모를 지난해 30억원에서 올해 56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중견·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이끌 계획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그동안 지식경제 R&D 인력 양성 정책이 대학·연구소 인력 양성에 치중하 고 공급자 위주로 운영, 실효성이 낮아지는 면이 없지 않다”며 “수요자 요구에 맞는 인력 양성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기업지원연구직 업체 파견 현황
-
안수민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