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201/237792_20120126134001_404_0001.jpg)
수개월이 걸리던 철강재료 자연 부식측정실험을 5시간만에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포스텍은 전상민 교수(화학공학과)와 주진명 연구원, 김성지 교수(화학과), 정환교 포스코 기술연구원 박사, 한건우 포항산업기술연구원 박사 등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자연상태에서의 금속 부식을 5시간 안에 재현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술은 영국왕립화학회가 발간하는 세계적 권위지 애널리스트(Analyst) 2월호 표지 논문으로 소개된다.
철강재료는 부식으로 인한 성능저하가 가장 큰 단점이다. 그동안 부식 피해 방지를 위해 부식이 적은 철강 개발이 철강업계의 숙원이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부식은 매우 느리기 때문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기존의 방법으로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는데는 어려움이 많았다. 느린 부식반응을 빠르게 유도하는 가속측정방법이 있지만 자연상태의 부식결과와 달라 실질적인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금속시편을 분쇄해 수백 나노미터(㎚)의 입자로 만든 뒤 입자의 크기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 부식 시간을 크게 단축하는 성공했다.
이 기술은 분석 시간 단축뿐만 아니라 수 밀리그램(㎎)의 미량으로도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고, 한 번에 많은 시료들을 측정할 수 있어 획기적이다.
전상민 교수는 “자연상태인 부식속도를 몇시간 만에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은 향후 새로운 금속합금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국제표준으로도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포스코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201/237792_20120126134001_404_0002.jpg)
포항=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