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IP PBX 규격제한으로 중소기업 진출 차단 논란

 일부 공공기관이 내부 인터넷전화(IPT)시스템 구축 시 특정 업체 규격을 명시한 용역을 발주해 논란이 되고 있다. 대기업 제품을 고집해 중소업체 진출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행전안전부, 강서구, 경찰청 등 일부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이 인터넷 전화(IPT)구축 사업 시 관련 장비를 몇몇 대기업 제품으로 구성도록 한 시방서(specification)를 냈다.

 본지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지난 5월 발주한 ‘행정도시 정부청사 1단계 인터넷전화 구축사업’ 제안요청서에서 △IP폰에서 동영상서비스를 제공 △VoD 방식과 푸시(Push)방식을 동시에 지원 △USB 포트 지원 등 특정 대기업 제품에서만 가능한 요소를 규격으로 제시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 요청서대로라면 실제로 납품이 가능한 곳은 대기업 두 곳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아예 특정사 제품 브랜드를 요청한 경우도 있다. 강서구는 지난해 ‘인터넷전화(IPT) 구축사업’ 제안요청서에서 A사 제품을 명시했다.

 경찰청 역시 최근 ‘112 시스템 전국 표준화 및 통합구축 제안요청서’에서 대기업만 참여 가능한 하이브리드 방식 PBX를 요구했다.

 기 구축된 대기업 아날로그 PBX에 IP 보드만 심어 대기업 제품 단말로 IPT를 구성하려 한다는 지적이다.

 이는 올(ALL)IP 기반으로 공공기관 IPT를 구성토록 권고한 행안부 시책과도 어긋난다. 2~3년 후면 올IP 기반으로 구축해야 하지만 굳이 대기업 제품만 들어갈 수 있는 하이브리드 방식을 고집해 향후 예산 중복 투자가 문제도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다.

 업계는 이같은 관행이 오랫동안 이어져 왔다고 입을 모은다.

 IPT 업계 관계자는 “공공기관 시방서 10개 중 7개는 특정업체 규격을 고집하거나 단말, PBX, 게이트웨이, 파워오브이더넷(POE)를 모조리 동일 회사 제품으로 꾸미도록 해 중소업체 진입 자체를 막고 있다”며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정부 인허가를 받은 기관이 중소기업 제품 호환성을 인증하고 있는데도 이런 논란이 지속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