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복단지 재단 이사장 공석...출범은 했지만

대구경북과 충북오송의 첨단의료복합단지(이하 첨복단지)를 총괄 운영할 재단법인이 지난 3일 창립총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그러나 법인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갈 재단법인 이사장이 당분간 공석인 상태로 재단이 운영될 예정이어서 첨복단지 조성사업이 출발부터 삐걱대는 모습이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3일 대구경북과 충북오송의 첨복단지 운영법인 설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개최했다. 첨복단지 재단법인의 명칭은 대구경북은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며, 충북오송은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이며, 비영리법인 형태로 설립될 예정이다.

현재 대구경북은 대구시 동구 신서동 혁신도시에 103만㎡ 규모로, 충북오송은 충북 청원군 강외면 오송생명과학단지에 113만㎡ 규모로 조성 중이다. 대구경북은 합성신약과 IT기반 첨단의료기기를, 오송은 바이오신약과 BT기반 첨단의료기기로 특성화해 조성될 예정이다.

이들 재단법인은 앞으로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보건복지부 등 주무관청의 허가를 얻어 법원 등기 절차를 거친 뒤 이달 중 설립이 마무리된다.

그러나 재단법인의 이사장은 공석 상태로 출범하게 됐다. 대구경북과 충북오송 모두 지난 9월 공모를 거쳐 후보자를 추천했지만 국무총리실의 최종 선임과정에서 함량 미달과 피추천자 개인 사정 등으로 인선이 불발됐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충북도는 이달 안에 이사장 재공모에 착수해 인물 검증을 거친 뒤 이르면 내년 2월 초 안에 신임 이사장을 다시 뽑는다는 방침이다.

이에 앞서 양 지자체는 지난 3일 열린 창립총회에서 재단 이사 가운데 한 명을 이사장 임시직무대행으로 선임했으며, 이사장이 인선될 때까지 직무대행에게 재단 운영을 맡기기로 했다. 결국 이사장이 없는 재단으로는 첨복단지 조성사업에 속도를 내기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임시직무대행은 재단의 행정업무와 그동안 지자체가 맡아 온 예산을 넘겨받는 등의 기본적인 업무만 처리할 수 있다. 첨복단지 조성사업의 구체적인 방향 설정이나 재단 내 인사, 단지 조성 사업자 선정 등 실질적인 업무는 이사장의 결재가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구시 첨단의료복합단지기획팀 관계자는 “당초 일정보다 늦어진데다 이사장마저 공석 상태로 해를 넘기게 되면서 재단 인사 절차나 첨복단지 조성사업의 세부적인 방향 설정 등 업무가 다소 지연될 것”으로 내다봤다.

당초 지난 10월 말까지 이사장 선출과 재단 설립을 마무리 짓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하기로 했던 첨복단지 조성사업이 이사장 공석 상태로 해를 넘기게 되면서 주요 현안의 사업 시행이 차질을 빚지 않을까 우려된다.

정재훈·신선미기자 jhoon@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