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경제권 사업놓고 지자체간 `집안싸움`

 올 하반기부터 5+2 광역경제권 사업이 본격화한 가운데 각 권역 내 지자체들이 사업 주도권 잡기와 예산 확보를 놓고 ‘집안싸움’을 벌이고 있다. 서로 자기 지역에 광역경제권위원회 사무국을 두기 위해 신경전을 펼치는가 하면, 선도 산업을 주도하겠다며 기세 싸움도 마다하지 않는다.

 시도 간 연계협력을 통한 국가균형 발전을 꾀하려는 광역경제권 사업의 취지를 훼손하는 것으로, 중앙정부는 사업의 미비점을 서둘러 보완하고 지자체들은 사전 의견조율 및 상호 협력의 자세를 보여야 한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28일 관련기관에 따르면 광역경제권 사업을 전담하는 광역위원회 사무국 설치를 놓고 서로 자기지역에 유리하게 유치하기 위한 이른바 ‘핌피(PIMFY:Please In My Frontyard) 현상’은 호남권을 비롯해 대경권과 충청권 3개 권역에서 발생했다.

 가장 심각한 지역은 호남권역.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 등은 “사무국과 선도산업지원단이 광주지역에 설치된다면 호남지역에서의 광주 집중화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며 전북에 사무국을 설치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으나 결국 광주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락됐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북지역에는 반감이 가시지 않은 상태다.

 대경권도 지난달 광역경제발전위원회가 발족했지만 사무국 소재지를 놓고 여전히 대구와 경북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충청권역에선 한동안 대전과 충남·북 3개 시도가 사무국 소재지를 두고 미묘한 신경전을 벌여오다 최근에서야 오는 10월까지 대전 지역에 사무실로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한 광역경제권 관계자는 “광역경제권 사업은 각 권역 내에서 사전 의견조율과 협의가 이뤄진 뒤 추진되기 때문에 사무국 소재지와는 별 상관이 없는데도 서로 자기 지역에 두려고 경쟁한다”면서 “아직까지 각 지자체가 광역경제권 사업의 의미나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주도권을 놓고도 권역 간 대립각을 세웠다.

 호남권에선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태양광을 놓고 광주와 전남·북 3개 시도가 경쟁하며, 풍력은 전남과 전북이 대결하는 양상이다. 친환경 부품소재사업에서도 LED 사업은 광주와 전북이, 자동차 및 조선기자재 부품은 전남과 전북이 서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다툰다.

 충청권 역시 선도산업인 뉴IT, 의약·바이오 등과 관련된 4개 세부 프로젝트를 놓고 대전시와 충남·북 간 경쟁이 치열하다. 특히 의약·바이오 사업 중 세부 사업인 글로벌 신약 실용화 지원사업 및 맞춤형 의약 구축 사업을 둘러싸고 대전과 충북 간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 수위가 높아져 가고 있다.

 대경권 선도산업인 IT 융·복합, 그린에너지 등 세부사업에 대해 대구와 경북 간 갈등이 여전하다. IT 융·복합 중 의료기기와 로봇, 그린에너지 중 태양광 분야 등은 대구시와 경북이 서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기세 싸움을 벌인다.

 동남권에선 로봇산업을 놓고 부산과 경남의 대립이 여전하다. 경남은 산업용 로봇메카로서 마산로봇랜드 지정 이후 산업용로봇 활성화에 전력을 기울인 가운데 부산이 R&D 중심의 해양로봇산업 육성을 들고 나와 내부 갈등이 표면화했다.

 대통령자문기구인 지역발전위원회 관계자는 “중앙부처와 지자체, 민간전문가 등이 긴밀한 협의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간 자율적인 다양한 협력사업을 발굴해 추진하는 게 광역경제권 사업의 기본 취지이자 방침”이라면서 “기존 행정구역을 초월한 상생협력을 통한 지역발전 전략을 펼쳐 내실 있는 광역권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