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0년 동안 전자 산업은 문자 그대로 ‘상전벽해’였다. ‘이무기’에서 ‘용’으로 승천했다. 2007년 기준으로 총수출에서 전자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육박했다. 1970년 총수출 대비 전자 비중은 불과 6.6%였다. 이후 1990년 26.5%로 치솟았으며 1995년 31.8%로 처음으로 ‘30% 고지’를 넘었다. 2000년 전자 부문 수출이 최고점을 이룬 39.2%에 달했으며 최근 주춤하지만 여전히 36∼37%를 유지하고 있다.
덩달아 세계 전자 시장 점유율도 크게 올랐다. 2001년만 해도 세계 시장에서 국내 전자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4.7%였다. 이는 미국 28.2%에 비해 7배나 작은 규모였으며 일본(16.7%)은 물론이고 중국(8.3%)에 비해서도 절반 수준이었다. 이어 시장이 커지기 시작하면서 2003년 6.4%에서 2004년 7.1%로 성장했으며 올해는 8%대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세계 4강 전자 강국답게 휴대폰·반도체 등 수십 품목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05년 기준으로 LCD는 42% 점유율로 세계 1위를 달리고 있다. D램도 45%로 역시 1위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메모리에 이은 차세대 분야로 집중 육성하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도 60% 점유율로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이 밖에 휴대폰이 25% 안팎의 점유율로 세계 2위를 달리는 등 주요 전자 품목이 세계 시장 곳곳에서 선전하고 있다.
많이 본 뉴스
-
1
한미반도체, TC 본더 25% 전격 인상…고객사 통보
-
2
SK하이닉스, HBM 증산 개시…'M10F' 용도 전환 가동
-
3
美, 상호관세 앞두고 “韓 전 산업 불공정 무역”
-
4
국정원, 공공기관 5년치 AI 정보화사업 전면조사
-
5
LG엔솔, 美 GM 합작 3공장 인수…토요타 배터리 생산 추진
-
6
펨트론, AI 기술 적용한 반도체 엑스레이 검사 장비 수주
-
7
헌재, 尹 대통령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대한민국 '운명의 날'
-
8
알리익스프레스도 불량 韓 셀러 잡는다…“KC인증 없으면 판매 중단”
-
9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
-
10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에 노태문 사장 선임… DA사업부장에는 김철기 부사장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