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업계 대·중소기업 협력모델, 타 산업계 벤치마킹 대상 부상

 지난해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대기업과 30여개 중소기업 간에 맺어진 ‘대·중소기업 협력약정’이 전자업종의 타 분야와 기계·자동차·조선·타이어 업종 등으로 확대된다.

 현재 대·중소기업 간 협력이 시급한 업종에 대한 수요조사가 유관협회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조만간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되는 업종부터 ‘협력약정’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업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중소기업 협력사업 모델이 타 산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셈이다.

 전자업계가 우리 산업 전반을 선도하고 있는 만큼, 협력모델에서도 타 업종보다 앞서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기회에 전자업계의 협력모델을 근간으로 모든 산업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대·중소기업 상생 모델’로 정착시켜 나가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종합적 대·중소기업 협력 전자가 주도=정부는 지난해 9월 대통령 주재로 ‘중소기업특별위원회 회의’를 개최, 다양한 대·중소기업 상생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 맞춰 전자업계는 R&D-생산-마케팅 등 가치사슬 단계별로 협력모델을 제시했으며 이를 통한 중소기업 지원 사업 등이 구체화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대표적 산업인 전자업계에서 효과적인 대·중소기업 협력모델을 도출하고 이것을 산업별로 현실화해 종합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큰 틀에서 볼 때 중소기업들의 입장은 산업 분야에 따라 비슷할 것이기 때문에 적극성을 띠는 전자업계가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어떤 모델 있나=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 대·중소기업 협력약정이 대표적이다. 부품·소재·장비를 생산하는 중소기업이 납품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도록 대·중소기업 간에 협력기반을 조성하는 것으로, 장기적으로는 이 약정을 토대로 ‘수급기업투자펀드’를 조성해 중소기업이 양질의 투자자금을 조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디스플레이분야에서 최초로 제시된 이 협력모델을 따르면 중소기업은 안정된 시장 여건을 확보할 수 있고 대기업은 기술협력을 통해 경쟁력있는 협력업체를 육성할 수 있다”며 “전자업종뿐 아니라 타업종으로 이 같은 분위기가 확산되면 우리 산업 전반에 대·중소기업 협력체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소기업의 공동 참여로 전자업계에서 추진되고 있는 특허지원센터 운영사업도 조만간 타 업종까지 확대된다. 특허지원센터는 특허 등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적재산권 분야에서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최근 특허문제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전자업계를 중심으로 만들어진 민간주도형 사업이다. 구조적으로 대기업이 많은 노하우를 중소기업에 전달하는 통로로 자리잡고 있다. 현재 DMB·디지털TV·텔레메트릭스 등의 분야에서 품목별 협의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이 급속히 늘고 있다.

 특허지원센터 관계자는 “센터는 전자업계에서 처음 발족됐지만 추진 과정에서 축적하는 노하우를 산업 전반으로 확대한다는 취지에서 업종에 구애받지 않고 품목별 협의체를 늘려 나갈 것”이라며 “산업의 컨버전스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특히 부품·소재 분야는 품목의 구분이 모호해 당초 가칭했던 ‘전자산업 특허지원센터’에서 ‘특허지원센터’로 이름을 확정하고 모든 산업에 문호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구성된 특허CEO포럼도 사실상 대기업의 특허 노하우를 중소기업에 제공하는 장이 된다는 점에서 대표적인 협력모델 가운데 하나다. 또 대·중소기업의 균형적 정보화 환경 구축을 위해 지난 2월 구성된 전자산업CIO협의회도 대기업·중소기업·학계가 공동 참여하는 정보화분야의 협력사업이다. 전자산업진흥회 주도로 이미 상당기간 지속돼 온 대기업의 전자부품 구매계획 설명회 등도 타 산업에 적용 가능한 대표적 모델로 평가되고 있다.

심규호기자@전자신문, khsi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