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는 주소길이가 32비트로 표현된다. 계수화할 경우 약 43억개의 IP를 사용할 수 있다. 언뜻 많아 보이지만 사실 비합리적인 주소배정(클라스별 할당)과 인터넷 인구의 급속한 팽창, 앞으로 예상되는 홈네트워킹, 정보가전, IMT2000 등에 소요되는 IP의 수를 볼 때 턱없이 부족하다. 이런 단점을 보완한 IPv6의 주소 표현방식은 128비트 체계로 운영된다. 이를 계수화할 경우 전세계 1인당 2억6800만개씩의 IP가 할당된다. 더이상 「IP고갈」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왜 필요한가=국내의 경우 인터넷 사용인구는 2000년 7월말 현재 1600만명을 넘어섰다. 보유 IP주소의 수도 1700만개를 넘어섰다. 현재의 증가율 및 향후 다른 기기에서의 사용시 IPv4로는 한계에 이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또 정보가전 및 IMT2000 개발과 관련해 각 단말기기에 하나의 IP가 포함된다고 가정할 때 나라별로 수백만개에서 수천만개의 추가적인 IP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함께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하려는 ISP 역시 현재 IPv4 체계로는 사업의 한계에 이른다. xDSL·케이블 등의 신규 인터넷 전용선 사업자는 추가 IP주소 할당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업 자체의 한계성을 실감할 수도 있게 된다.
이밖에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 개발에도 한계가 있다. 기존 데이터 중심의 인터넷 이용방식은 앞으로 인터넷방송·영상회의·원격진료 등의 실시간 스트리밍 위주로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IPv4는 서비스품질(QoS)을 보장하지 못해 실시간 데이터 이용에 한계가 있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구현이 문제가 되고 있다.
◇각국 동향=국가별로 볼 때 IPv6 기술개발에 가장 앞선 나라는 일본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IPv6 프로젝트에는 WIDE·KAME 등이 있다. WIDE는 IPv6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2002년까지 연구기간이 2년 연장된 상태다. KAME는 IPv6 관련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개발된 IPv6 스택이 「FreeBSD 4.0」에 탑재됐다. 현재 많은 일본 업체들이 IPv6 관련제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NTT 등을 선두로 IPv6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WIDE 프로젝트는 일본의 대표적인 차세대 인터넷 관련 연구 프로젝트로 98년 시작된 이래 현재 39개 대학과 66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국가망을 새로 구축해야 하는 중국의 경우 처음부터 IPv6 채용이 불가피한 것으로 평가돼 왔는데 지난 3월 에릭슨과 공동으로 IPv6 기반의 차세대 망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노키아는 중국내 IPv6 기술개발을 위해 지난해 후반에 「인터넷6」라는 기술협력 프로그램을 체결하고 이 프로그램에 따라 IPv6 기반의 차세대 인터넷 기술과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국은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과는 별도로 시스코시스템스나 선·컴팩·MS 등의 민간기업들이 이미 상용제품을 출시했거나 준비중이며 캘리포니아주 일부 지역에서는 직접 적용, 활용중이다. 이미 AT&T·스리콤·NTT 등 80여개 업체가 IPv6 관련 지식과 경험 공유를 위해 출범한 「국제IPv6포럼」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국내에서는 ETRI·한국통신이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이밖에 캐나다·노르웨이·스웨덴·프랑스 등의 국가가 IPv6의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전망과 대책=국내에서는 일부 시기상조라는 의견도 있으나 외국의 경우 연구는 물론 상용화 단계에까지 들어서고 있어 대응이 시급한 실정이다. IPv6 도입시기와 관련, ETRI의 김용진 박사는 『2002년부터 2003년 사이로 예측되며 늦어도 국가 초고속통신망이 완성되는 2005년에는 상당히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지금부터 준비해야 시장이 형성됐을 때 대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3월에는 ETRI와 아이투소프트·SK텔레콤·한국통신을 비롯한 주요 대학 등 40여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 IPv6포럼코리아가 결성돼 IPv6 연구붐이 조성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IPv6로의 전환과정에는 비용문제가 발생하므로 IPv4/IPv6 변환기술을 토대로 점차 IPv6 환경으로 발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상당기간 IPv4와 IPv6는 공존할 것이며 변환기술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기존 IPv4망과 IPv6망 연동을 위해 장비와 기반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상용화를 위한 준비에 좀 더 속도를 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경우기자 kwlee@etnews.co.kr>
많이 본 뉴스
-
1
스타링크 이어 원웹, 韓 온다…위성통신 시대 눈앞
-
2
단독CS, 서울지점 결국 '해산'...한국서 발 뺀다
-
3
美 마이크론 HBM3E 16단 양산 준비…차세대 HBM '韓 위협'
-
4
LG 임직원만 쓰는 '챗엑사원' 써보니…결과 보여준 배경·이유까지 '술술'
-
5
[전문]尹, 대국민 담화..“유혈 사태 막기 위해 응한다”
-
6
초경량 카나나 나노, 중형급 뺨치는 성능
-
7
NHN클라우드, 클라우드 자격증 내놨다···시장 주도권 경쟁 가열
-
8
'파산' 노스볼트,배터리 재활용 합작사 지분 전량 매각
-
9
BYD, 전기차 4종 판매 확정…아토3 3190만원·씰 4290만원·돌핀 2600만원·시라이언7 4490만원
-
10
DS단석, 'HVO PTU 생산' SAF 원료 美 수출 임박…유럽 진출 호재 기대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