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희 서울교대 교수
지금까지 학교 컴퓨터교육은 미래의 학교교육정보화에 대비한 교육이 실시되지 못하고 컴퓨터의 기본적인 활용 방식을 배우는 컴퓨터에 관한 교육이 주로 이루어져왔다.
즉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는 문맹 탈피(Literacy)를 위한 교육이 이루어진 것이다. 앞으로의 교육은 멀티미디어 정보 시스템의 활용과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의 형태가 많이 이루어질 것이다. 학습 정보가 매우 신속하게 이동되며, 자료의 방대함과 자료 구성의 유연함의 장점이 있으므로 선진국에서도 교육에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국가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초고속 통신망 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착실히 준비해야 하겠다.
우선적으로 교육정보화가 잘 이루어지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기 위한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교사의 수업 개선의 의지가 필요하다.
현재와 같이 교육 공급자에 대한 보다 강화된 평가가 마련돼 있지 않고 수업 개선을 위한 경쟁력이 주어지지 않으면 새로운 수업 방식의 도입은 어렵다는 것이다.
둘째로 교사의 기본적인 컴퓨터 운용 능력의 숙지가 필요하다. 교사가 컴퓨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실제로 코스웨어 프로그램의 운용 방식은 매우 간단하다.
컴퓨터에 대한 두려움(anxiety)은 컴퓨터의 기본적인 이해 부족과 활용 현장의 참관 기회의 부족, 실제로 활용 기회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는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면 극복할 수 있다.
셋째로 학교 수업의 체계화를 이루어야 한다. 모든 수업의 내용과 방식이 어느 정도 표준화 또는 정형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이다. 수업의 표준화를 기본으로 하고 작성된 모든 교육용 프로그램이 현장에 적용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정형화된 수업안에 대한 정보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넷째로 학교 도서관과 컴퓨터 실습실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학교 도서관의 중요성은 인식하면서 여러 이유 때문에 상당히 낙후되어왔다.
학생들이 컴퓨터를 자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학교 도서관에 많은 전자 자료와 통신망을 구축하여 두고 학교 컴퓨터 실습실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의 마련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컴퓨터 관리 요원의 부재와 정보의 부족이다. 코스웨어에 관한 정보의 부족과 컴퓨터 관리요원의 부재가 현실적인 큰 어려움인 것은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학교교육정보화에 산학 협동, 학학 협동의 마련이 필요하다.
산학 협동과 대학-초등학교, 초등학교-초등학교 간의 연대 등과 같은 학학 협동체제를 구축하여 교사의 창의적인 학습 내용이 교육 내용의 정보화와, 교수-학습 활동의 정보화, 학교 경영정보화 등을 이루어 프로그램의 제품화와 이용 환경구축에 용이하도록 하는 방안 마련과 함께 컴퓨터 관련 신기술과 제품에 대하여 교사에게 정보 제공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SW 많이 본 뉴스
-
1
정보보호기업 10곳 중 3곳, 인재 확보 어렵다…인력 부족 토로
-
2
새해 빅테크 AI 에이전트 시대 열린다…데이터 편향·책임소재 해결은 숙제
-
3
새해 망분리 사업, '국가망보안체계'로 변경 요청…제도 안착 유인
-
4
AI기본법 국회 통과…AI데이터센터 등 AI산업 육성 지원 토대 마련
-
5
'초거대 AI 확산 생태계 조성 사업', 완성도 높인다
-
6
박미연 아란타 영업대표 “국내 첫 온라인 용역 통제시스템 위즈헬퍼원, 국내외 투트랙 공략”
-
7
한눈에 보는 CES 2025 'CES 2025 리뷰 & 인사이트 콘서트' 개최한다
-
8
“기업이 놓쳐서는 안 될 UX·UI 트렌드 2025 세미나” 1월 16일 개최
-
9
난개발식 국민소통 창구···'디플정' 걸맞은 통합 플랫폼 필요성 커진다
-
10
농어촌공사, 120억 ERP 우선협상대상자에 아이에스티엔·삼정KPMG 컨소시엄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