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전국 정보문화 캠페인> "정보문화 캠페인"을 시작하며

강영훈 한국정보문화운동협의회장

 인류는 지금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라는 문명사적 굽이를 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다가오는 정보사회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지난 80년대 후반부터 범국가적으로 정보화를 추진해왔습니다. 그리하여 컴퓨터 보급대수가 8백만대에 육박하고 이동전화 가입자수가 1천만명을 넘어서며 초고속정보통신망이 구축되는 등 정보사회를 위한 사회적 기반이 날로 확대돼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보화의 내면적 실상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게 현실입니다. 전국민의 60% 정도가 컴퓨터를 전혀 다룰 줄 모르는 컴맹이고 약 80%가 PC통신·인터넷을 활용하지 못하는 넷맹이며 연령별·직업별·계층별 정보격차가 심각합니다. 또한 정보화에 뒤따를 수 있는 각종 역기능 현상들이 여기저기 나타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갭은 정보사회의 물리적 하부구조가 되는 컴퓨터와 통신기술의 개발보급과 함께 이에 상응해 국민들의 정보이용 능력과 정보이용의 활성화를 위한 의식적·문화적인 적절한 대응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인간의 생활이나 가치관, 의식 등을 정보사회에 맞게 변화시켜서 균형있고 조화있는 정보사회를 실현하고자 하는 운동이 바로 정보문화운동입니다.

 지금까지는 정부가 앞장서서 이러한 정보문화운동을 펼쳐왔지만 21세기를 앞둔 현재 정보문화운동은 우리 사회 전반의 민주화·개방화·자율화 흐름과 정보화의 급속한 진전에 맞춰 새로운 추진전략과 추진방식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기존 관 주도의 정보문화운동은 민간의 정보화 마인드가 부족하고, 사회 전반의 정보화가 미약한 정보화의 초기단계에서는 마치 지난 시기 우리나라 산업화 과정에서 정부 주도로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하여 한강의 기적을 이루었듯이 사회 전반에 정보화의 저변을 넓히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관 주도의 경제개발정책이 오늘날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로 상징되는 난관에 다다랐듯이 관 중심의 정보문화운동으로는 민주화와 정보화에 따른 사회전반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언론사 등 민간단체 중심의 정보화 캠페인 전개 등 달라진 정보문화의 지형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정보문화운동의 성과를 발전적으로 이으면서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민간의 활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민간이 주도적으로 범국민적 정보문화운동을 전개할 목적 아래 지난 6월 한국정보문화운동협의회가 발족되었습니다.

 협의회가 추진하는 국민정보문화운동은 관이 주도하는 정보문화운동과는 달리 국민이 자주적으로 펼치는 민간운동이며, 21세기 정보사회에 걸맞은 정보화 지향적인 의식과 문화를 범국민적으로 확산하고 기술적 추진에 대응한 정보의 이용 및 수요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국민운동이며, 정보화를 생활 속에 실천함으로써 국가경쟁력과 삶의 질을 높여 정보복지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실천운동입니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