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2k문제 연중 기획 15] 국내업체 대응 실태

세계적인 정보기술(IT) 시장조사기관인 미국 가트너그룹은 최근 『한국은 지난 3월말을 기준으로 2000년(Y2k)문제 해결시한을 넘겨 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고 밝혔다. 이 발표 직후 국내의 반응은 미미했다. 사회전반적으로 점점 빨라지고 있는 Y2k에 대한 인식확산에 비하면 이같은 반응은 분명 의외였다.

최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회장 정장호)가 전 산업 업종의 3천개 사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Y2k문제 해결을 위한 실태조사는 이같은 의문을 푸는 실마리를 제공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Y2k문제 해결을 위해 연내 조사업체의 98%가 전담팀을 구성할 계획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이를 위한 예산 반영비율은 33.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체들은 「Y2k문제 해결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실천의지는 아직 없다」는 것을 보여준 좋은 예다. 특히 문제인식과 해결과정에서 경영층과 일선 전산책임자의 생각이 약간씩 다르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실제 해결작업에 들어갔을 때 적지 않은 불협화음이 날 수 있다는 개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먼저 인식도 조사에서는 경영기획 책임자의 10% 정도가 「Y2k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답한 반면 전산책임자들은 6% 정도만이 이에 수긍했고 76%는 「문제가 많다」고 응답했다. 또 경영층이 Y2k를 인식하게 된 동기로는 「언론매체를 통해서」가 68%로 압도적이었고 「이미 Y2k로 인한 문제가 발생해서」도 4.2%나 돼 2000년문제로 인한 피해가 이미 시작됐음을 보여주었다.

「Y2k 해결방안」을 묻는 질문에서는 경영층이 기존 전산조직 활용(45%), 외부 SI업체 활용(10%) 등으로 대답한 반면 전산책임자는 자체 전산인력 활용이 64%로 가장 많았다.

전산책임자가 판단하는 현 Y2k 대처수준은 계획수립단계(29%), 구현단계(26%), 인식단계(20%), 시험운영단계(13%) 등의 순으로, 높은 문제인식 수준과는 달리 61% 정도가 아직 Y2k문제 해결의 직접적인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Y2k문제 해결이 지연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경영층의 인식부족(26%), 자체 전산인력 부족(25%), 예산 미확보(24%) 순으로 나타났다. 또 「99년말까지 Y2k문제가 해결될 것인가」라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이 90% 정도는 해결될 것으로 응답했고 25% 정도는 50% 이하가, 19% 정도가 70∼90% 수준까지 해결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조사를 담당한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의 조영훈 팀장은 『대다수의 사업체가 98년내에 전담팀을 구성하고 99년에 예산반영을 계획하고 있어 이러한 추세로 Y2k문제 해결이 추진될 경우 수요인력의 단기적인 급증으로 인해 인력공급의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우려했다.

조 팀장은 또 『현재 IMF로 인한 실업증대와 SI업체의 불황 등을 감안, 99년도에 집중된 Y2k문제 해결 계획을 98년 하반기부터 분산 추진하는 경우에는 인력공급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먼저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 등을 비롯해 타 기관의 통신망과 연결된 주요 전산설비 집중기관을 중심으로 Y2k문제 해결을 유도하는 것이 Y2k와 관련한 조기수요를 촉진하는 주요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는 해결책을 제시했다.

<김경묵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