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 방해 세포만 제거' 면역항암제 개발

Photo Image
배현수(왼쪽)·강성호 경희대 교수

항암치료를 방해하는 나쁜 세포만 정밀하게 제거하는 약물이 개발돼, 고형암 치료에도 효과적인 면역항암제 신약이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배현수·강성호 경희대 교수 연구팀이 종양 성장을 돕는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표적해 사멸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고형암에서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펩타이드 신약후보 물질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면역항암제는 면역체계를 강화해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특정 혈액암에 뛰어난 효능을 보이지만 폐암 등 고형암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고형암 주위에서 면역세포 기능을 떨어뜨리는 종양미세환경(암세포가 증식하는 환경)이 발달해 약물 침투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특히 종양미세환경 내 M2형 종양 관련 대식세포는 면역을 억제하고 암 진행을 유도하는 핵심 인자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M2 대식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표적 단백질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면역항암제 개발 한계로 지적된다.

연구팀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으면서 종양 크기는 줄여주는 자연계 독성분 물질에 주목, 이 물질의 표적이 M2 대식세포임을 확인하고 그 결합 분자인 활성형 CD18 단백질을 새로운 치료 표적으로 특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독성분 물질 독성을 낮추는 방향으로 분자구조를 재설계하고, M2 대식세포 내 활성형 CD18 단백질을 인식하는 펩타이드 신약 후보물질로 발전시켰다.

이렇게 개발한 펩타이드-약물 접합체(TB511)는 정상 대식세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종양 내 M2 대식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을 확인했다.

동물모델 투여 결과 대장암·폐암·췌장암 등 고형암에서 종양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했고, 정상 면역세포를 손상하지 않는 정밀 면역항암제 가능성도 입증했다.

TB511은 지난해 식약처로부터 임상1/2a상 승인를 얻어 올해부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배현수 교수는 “향후 범용 면역항암제 개발과 정밀 면역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