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과학기술 행사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개막

Photo Image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 포스터

역대 최대 규모 과학기술 축제 '2025 대한민국 과학기술축제'가 16일 개막했다. 기존에 개별적으로 열렸던 대한민국 과학축제,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 대전사이언스페스티벌 3개 행사를 통합, '과학기술의 엔진, 호기심을 깨우다'를 주제로 청소년 및 성인 대상 약 850여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대전시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연구재단, 대전관광공사, 과학문화민간협의회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이날부터 20일까지 대전 엑스포시민광장과 엑스포과학공원, 대전컨벤션센터 제1·2전시장 등 대전 도심 일대에서 진행된다.

엑스포시민광장에서 열리는 호기심 발전소(과학기술축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과학기술원 등이 참여하는 과학기술 체험·교육 프로그램부터 5대 국립과학관이 모두 참여하는 이동형 전시와 과학체험 놀이터가 마련됐다.


삼양라운드스퀘어, BMW코리아미래재단, 레고에듀케이션 등 민간기업의 과학교실 등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대전컨벤션센터 제2전시장에서 열리는 호기심 연구소(과학기술대전)는 주요 국가전략기술 분야 첨단기술과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출품작, 출연연 및 대학의 연구성과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성과물을 전시한다.

또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미래 과학자를 위한 멘토링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과학기술 오픈스테이지에서는 과학드림, 수상한생선, 과학쿠키 등 과학 유튜버들이 과학기술을 주제로 대중과 소통한다.

엑스포과학공원 및 대전컨벤션센터 제1전시장에서는 호기심 테마파크(사이언스페스티벌)가 진행된다.

유명 국내외 연사가 참여하는 세계과학문화포럼, SF 문학의 과학적 탐구를 조명하는 문학정원 with 사이언스, 열기구와 드론 등 이색 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다. 세계과학문화포럼에는 인공지능(AI)을 주제로 존 헤이븐스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사무총장, 보 스티에르네 톰센 레고에듀케이션 부사장, 데니스홍 교수 등 총 10인의 연사가 18~19일 양일간 참여한다.

행사장 외에도 행사 기간 대전 도심 곳곳에서 한국과학창의재단-대전시립미술관 학술 세미나, 과학어울림마당, e-스포츠 진로체험 등 부대 프로그램도 도심형 축제 형태로 동시에 진행된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개막식에 앞서 '젊은 과학기술인과의 대화'에 참석, 과학기술 인재 정책 방향을 공유하고, 젊은 과학기술인들을 만나 직접 소통하고 격려했다.

유 장관은 “이번 과학기술축제는 3개 행사를 통합 개최해 남녀노소 누구나 도심 속에서 과학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며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행사장에 방문해 과학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경험하고, 즐기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