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대 미국 관세 협상에서“ 조선 분야가 굉장히 중요한 협상 카드”라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한미 양국의 조선 협력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안 장관은 미국의 대 한국 상호관세 부과와 관련한 협상 상황을 묻는 말에 “미국은 조선 산업 역량이 2차 대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왔다”면서 “한국이 갖춘 조선 기술과 제조 역량에 대해 많은 기대를 하고 있고 한국이 안보 측면에서도 돈독한 동맹 관계를 강화하고 있어 굉장히 큰 신뢰를 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이 한국을 핵심 파트너로 생각하는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과 관련해선 “미국 정부가 관심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으며, 백악관이 조선 산업 관련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우리 측과 협의 중”이라고 상황을 전했다.
MRO 협력 범위를 전투함정 MRO 사업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에는 “군함 관련 부분은 앞으로 법제 재정비가 돼야 하는 부분이어서 시급하게 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미국 측과 계속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참여를 언급한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를 두고는 “어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제시한 것처럼 다각적인 협상 카드를 좀 더 구체화하는 방안들을 만들어가야 하는 상황”이라며 “LNG 문제에 대해서는 확약을 한 게 아니기 때문에, 사업성이 있는지와 어떤 형태로 협력할 수 있는지를 미국과 협의해 봐야 한다”고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미국이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 가운데 한국에 가장 높은 상호관세를 부과하면서 대두되는 FTA 실효 논란과 관련해 안장관은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그는 “미국이 자동차 품목 관세로 25%를 부과했지만 한국은 FTA 때문에 관세 베이스가 '0'이어서 25% 관세만 내고 들어가지만, 경쟁국인 일본과 유럽연합(EU)은 27.5% 관세를 맞았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어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통화한 이후 미국 측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오고 있다”며 “제가 조만간 미국에 갈 계획이며, 통상본부장이 돌아오면 이번에 미국과 협의한 내용을 파악해 범부처적으로 분석하겠다”고 말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