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보안 솔루션 'AI 디펜스', 네트워크-AI서비스 보안 지원”

Photo Image
최지희 시스코코리아 대표가 3일 오전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시스코 커넥트 코리아 2025'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시스코가 신규 보안 솔루션 'AI 디펜스'를 출시했다. 인공지능(AI) 기술과 자체 보안 플랫폼을 결합해 네트워크 단부터 앱 운영 전반에 걸친 보안을 지원한다.

시스코는 3일 서울 파르나스에서 '시스코 커넥트 코리아 2025'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최지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AI 기능을 대폭 강화한 네트워킹, 보안, 협업, 가시성 솔루션으로 기업 고객의 AI 전환과 디지털 회복탄력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I 디펜스는 시스코의 첨단 AI 기술을 바탕으로 한 토털 보안 플랫폼 '시스코 시큐리티 클라우드'와 통합돼 운영된다. 특히 새로운 형태의 사이버 위협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도록 설계해 실시간 위협 감지와 대처가 가능하다. 시스코는 ”시스코만이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엔드투엔드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아난드 라가반 시스코 AI 제품 총괄 부사장은 “모든 조직에서 AI가 핵심 영역에 활용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모델 사용의 가시성, 운영 환경에 배포되기 전의 모델 검증, 운영 환경에서의 모델 보호를 위한 가드레일 등 3가지가 매우 중요해졌다”며 “시스코 AI 디펜스는 서드파티 AI 앱에 대해 안전하고 보안된 접근을 제공하는 종합 플랫폼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안전, 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안전장치를 기반으로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게 특징이다. 이러한 안전장치는 오픈웹애플리케이션보안프로젝트(OWASP) 선정 대형언어모델 10대 취약점(LLM10),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AI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 마이터 아틀라스(MITRE ATLAS) 등 국제 표준을 준수한다. 시스코 AI 디펜스 솔루션은 지난달부터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날 시스코는 자사 협업 툴 솔루션 '웹엑스(Webex)'의 AI 에이전트 솔루션도 선보였다. AI와 인간 상담원을 결합해 고객 응대 시간을 단축하고 문제 해결을 자동화하는 게 특징이다. 실시간 대화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분석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다.

데이비드 코벤트리 시스코 APJC(아시아태평양·일본·중국) 협업 부문 매니징 디렉터는 “웹엑스 AI 에이전트는 음성 및 디지털 채널 모두에서 진짜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며 “고객은 AI가 전체 대화를 주도하는 자율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거나, 기본 인텔리전스를 AI가 제공하는 스크립트 에이전트를 통해 대화를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남궁경 기자 nkk@etnews.com

주요 행사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