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가 자세와 행동, 생체신호를 감지해 차량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전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모니터링 기술을 개발했다.
졸음운전, 휴대폰 사용 등 부주의를 방지하고 아이의 카시트 착용 여부까지 한번에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 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현대모비스는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ICM)'을 개발·완료, 글로벌 완성차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수주에 돌입한다고 22일 밝혔다. ICM은 탑승객을 관찰하는 카메라와 이를 분석하는 소프트웨어(SW)로 구성됐다.
ICM은 카메라로 운전자와 탑승객 움직임을 감지한 뒤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화면이나 소리 등으로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졸음 운전으로 눈을 감거나 고개를 떨구면 환기를 하라고 경고하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휴대폰 사용, 흡연, 안전벨트 미착용, 뒷자석 유아동 방치 여부, 카시트 착용 여부 등 10가지가 넘는 위험 시나리오를 시스템이 인지하도록 했다.
현대모비스는 유럽 차량용 소프트웨어 표준(ASPICE) 인증도 획득했다. 현대모비스는 유럽 완성차를 대상으로 인캐빈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수주에 나설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올해 운전자 생체신호를 분석하는 헬스케어 기능을 강화하고, 상업용 플릿서비스에 특화된 차세대 신기술(2.0) 개발에도 속도를 낸다.
신규철 현대모비스 전자제어개발실장은 “자율주행 고도화에 따라 차량 내부의 편의 기능과 안전 기술 수요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탑승객마다 다른 신체 구조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정확도 높은 SW 개발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조사기관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한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DMS)은 연평균 40% 가까이 급성장하는 분야다. 안전 기준이 까다로운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 DMS 장착이 의무화되며 고급차 시장을 중심으로 탑승객 안전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