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생회복·소상공인 지원 총력…2조 1000억원 규모 공급

서울시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올해 총 2조 1000억원 규모 정책자금과 특별보증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벼랑 끝에 내몰린 소상공인을 위해 2000억원의 '비상경제회복자금'을 신설해 상반기에 조기 지원한다. 영세·저신용 소상공인 대상 마이너스통장인 '안심통장' 지원을 위한 특별보증을 신설한다. 지난해 11월 발표한 '소상공인 힘보탬 프로젝트'도 본격 가동한다.

이번에 공급하는 자금은 '직접 융자금' 2000억원, '시중은행협력자금' 1조 7000억원, 생계형 소상공인 대상 마이너스통장 방식의 '안심통장' 2000억원으로 구성된다. 분야별로는 △중저신용자·사회적약자 등 취약 소상공인 8600억원 △준비된 창업 및 우수기업 성장 촉진 3400억원 △일반 소상공인 9000억원이다.

Photo Image
자료=서울시 제공

올해 융자지원 규모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위해 작년 대비 350억원 늘렸다. 자금 신청접수는 1월 2일부터 받는다. 1인당 최대 1000만원까지 비대면 신청 가능한 안심통장은 시스템 구축을 거쳐 2월 말 정식 시행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소상공인을 위해 비상경제회복자금을 신설했다. 지원 대상은 직전 분기·반기 또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10% 이상 감소한 기업과 소상공인으로, 최대 5000만원 한도로 2.0%의 이자 차액을 보전해준다.

경영난에 부채 상환으로 이중고를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원금 상환유예 제도'도 가동한다. 지원 대상은 2024년 5월 31일 이전 서울시 중소기업육성자금 분할 상환 대출을 받은 기업 중 신청기간 중 분할 상환하는 기업이다. 신청일로부터 최대 6개월까지 원금 상환을 유예받을 수 있다.

준비된 창업자를 위한 '창업기업자금'은 지원 규모를 전년 대비 650억원 증액한 1000억원을 편성하고, 특화지원대상에 '청년 밀키트 창업 지원사업' 등을 추가했다. 매출액 등 조건을 충족하지 못해 융자를 받기 어려웠던 초기 창업가 지원을 강화해 탄탄하고 안정적 시작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일자리창출우수기업자금' 규모도 전년 대비 1650억원 확대한 총 2250억원을 공급해 성장가능성 높은 유망기업의 스케일업에 적극 나선다. 지속가능경영의 중요성을 반영해 'ESG자금' 규모도 50억원 증액, 그동안 환경산업 분야(E)에 한정됐던 지원 대상을 사회적책임(S), 지배구조(G)까지 확대한다.

서울시는 내수 부진에 따른 매출 감소, 상환 애로 등 소상공인 금융 부담 경감에 힘을 보태고자 시설·경영안정자금 등 직접 대출자금 금리를 전년 대비 0.5%p 인하, 저리 정책자금 기조를 유지한다.

송호재 서울시 민생노동국장은 “올해 정책자금 지원은 취약층과 유망 소상공인으로 방향을 명확하게 정하고, 자금구조 개편과 금리인하로 실질적인 효과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자금공급을 상반기에 신속 추진해 소상공인 금융 부담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