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교통약자 없는 대중 교통서비스 혁신 마련' 제안

Photo Image
충남연구원은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지방 중소도시 모빌리티 혁신방안 정책세미나를 지난 5일 열었다.

농어촌 등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인구가 감소하면서 지역주민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열렸다.

충남연구원은 한국교통연구원과 함께 '인구감소 시대 지방 중소도시 모빌리티 혁신방안 정책 세미나'를 연구원에서 지난 5일 개최했다.

이날 김인철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충남도는 대중교통 소외지역에 소형버스나 택시를 활용한 수요 응답 교통(DRT)서비스를 제공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이 '라스트 마일(자가용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어려운 지역)' 이동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공 중인 저탄소형 교통정책(그린 슬로 모빌리티)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서현 교통연구원 연구위원도 “지방 중소도시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교통이용 수요 감소, 운수종사자 고령화 등 버스 운영 현안이 발생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임 연구위원은 이에 “지방 도시 대중교통 사각 지역 해소를 위해 △버스 운영 합리화, △노선버스와 수요 응답 교통의 통합 운영체계 기반 마련, △지역 특화 모빌리티 실증사업 확대 등은 물론 효율적 운영 구조 개선 시 지자체와 사업자에게 성과급을 부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제안했다.

탁세현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공공형 택시·버스 운영, 노선 개편을 통한 운영 효율화, 노선버스의 DRT(수요응답형 교통) 전환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데이터에 기반한 지역별 현황 분석 등 보다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충남도 5개 시·군(보령, 금산, 서천, 청양, 태안)을 대상으로 공공교통서비스 적정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교통서비스 이용 수요에 기반해서 수요가 일정 수준 이상인 지역은 노선버스 운행을, 인구 감소·고령화 등으로 이용 수요가 과소한 지역은 공공형 버스·택시 등 유동적 운행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탁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현재 교통수요, 지역 특성, 교통수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수요 기반 공공교통 적합성 평가를 실시해 노선 개편이나 신규 교통서비스 지역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종합토론 시간에는 이정범 대전 세종연구원 박사, 정용일 충북연구원 박사, 윤소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박사, 한경아 충남도 교통정책팀 사무관, 박지훈 대중교통팀 사무관 등 전문가가 참석해 효율적인 대중교통 서비스 정책 마련 전략을 논의했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