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 부산 영도 남쪽 해상. 부산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통선(소형선박)을 타고 달린지 10분 남짓 지나자 외부에 크게 'KIGAM(한국지질자원연구원 영문 약어)'이라고 적힌 배를 마주할 수 있었다.
바닷 속 보물인 해저 자원을 찾는 탐사연구선, 지질연의 '탐해 3호'였다.
탐해 3호는 지난해 퇴역한 '탐해 2호'의 뒤를 잇는다. 전 세계 해역에서 해저 자원탐사, 지질재해 요인 파악, 지질정보 구축을 수행한다. 자원, 재해를 다뤄 그 역할이 막중하다.
탐해 3호는 '크고 복잡하다'는 인상을 줬다. 6862톤 규모라고 했다. 곳곳에 각종 장비가 한가득이다. 윗면에는 수많은 전선(하네스)이 무리지어 이어져 있었다.
첫 만남 후, 채 가시지 않은 페인트 냄새를 맡으며 이동한 회의 공간에서 탐해 3호에 대한 본격적인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설명을 맡은 최윤석 해저지질탐사연구센터장은 탐해 3호를 두고 “10년 가까이 노력을 거듭해 건조한 배”라고 소개했다. 탐해 2호를 넘어 진정한 '바다 위 연구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었다.
최 센터장은 탐해 3호 규모가 탐해 2호의 3배 이상으로, 4m 파도도 이겨낼 정도라고 밝혔다. 쇄빙선 정도는 아니지만 내빙 역량도 갖춰 극지 탐사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탐사 핵심은 더욱 향상된 '탄성파 탐사'라고 소개했다. 에어건으로 '공기 폭탄'을 터뜨려 파동을 발생시킨 뒤 땅 속에서 반사돼 오는 반사파를 수신해 분석하는 식이다. 이로써 해저 석유나 가스를 찾는 등 해저 지하 면면을 살필 수 있다.
탐해 2호에서도 가능했지만, 3호는 더욱 강력하다. 탄성파를 수신하는 '스트리머'를 기존 2줄에서 8줄로 늘려 전체 700m 폭 해저 지하를 살필 수 있다. 탐해 2호가 스트리머 좁은 면적의 '2D 탐사'를 했다면, 3호는 대면적을 입체로 살피는 '3D 탐사'가 가능해진 것이다. 얼마 시간이 지난 후 재차 탐사를 수행하는 4D(입체+시간) 탐사도 수행한다.
설명에 이어 실제 여러 설비들을 견학할 수 있었다. 특히 배 후미에서 본 스트리머 케이블이 압도적이었다. 동아줄만한 노란색 케이블이 여럿 감긴 상태였는데 그 타래 높이가 사람키를 넘었다. 모두 전개하면 한 줄에 6㎞라는 설명이 뒤따랐다.
공기폭탄을 쏘는 에어건도 규모가 상당했다. 큰 아름드리나무 만한 장치에 수많은 에어건이 달려 있었다. 스트리머 케이블, 에어건 모두 무게가 상당해 보였다.
함께한 조동욱 기술원은 “이 무겁고 많은 장비들을 끌고 항해할만큼 배가 강력하다”고 웃으며 말했다.
탐해 3호는 이들 설비를 무기로 여러 중요 임무에 투입된다고 했다. 6월부터 서해 군산분지에서 3D 탄성파 탐사로 해저 이산화탄소(CO₂) 유망저장소를 찾는게 첫 임무다.
내년에는 태평양 전역에서 해저 퇴적물 희토류 매장 정보를 확보하고, 관련 자원개발 정밀탐사 후보지 선정에도 나선다.
다양한 국제 공동연구도 추진하는데, 김병엽 해저지질에너지연구본부장은 이미 해외에서도 탐해 3호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워낙 훌륭한 배라 심지어 외국 석유회사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이런 탐해3호는 31일 포항영일만항에서 취항, 첫 항해의 시작을 알렸다.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 “해저 자원탐사, 탄소 포집·저장(CCS) 및 가스하이드레이트 연구개발(R&D) 등 국가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최첨단 연구 인프라를 확보하게 됐다”며 “탐해 3호는 우리 해저자원 탐사 기술을 세계에 알리는 바다 위 연구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