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샌디에이고-UNIST-UCSD 4자 협약
바이오, 디지털헬스 등 협력
![Photo Image](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1/18/news-p.v1.20240118.c8f71a6b6329467fb3fa9e67fb7668a2_P1.jpg)
김두겸 울산시장을 대표로 한 울산시 해외사절단이 미국 샌디에이고시와 바이오(생명)산업 육성 협력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17일(현지 시각)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캠퍼스(UCSD)에서 샌디에이고시와 '바이오산업 육성 협력 기반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약 당사자는 울산시(김두겸 시장)와 샌디에이고시(토드 글로리아 시장),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용훈 총장), UCSD(프라디프 코슬라 총장) 4개 기관이다.
4개 기관은 바이오산업 육성 협력 기반 구축과 디지털헬스 기술개발, 바이오 창업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등을 공동 추진한다.
울산시와 UNIST는 지난해 UCSD와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지원사업'을 추진해 울산 창업기업 3개사의 기술 사업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에 성공했다.
3개 창업기업 가운데 타이로스코프는 현재 미 벤처캐피탈에서 1000만 달러 투자심사를 받고 있다. 에스비솔루션은 중국 항저우 건강온라인정보기술유한공사와 연 20만대 공급 가계약을 맺었고, 디엔에이코퍼레이션은 글로벌 의료장비 기업과 파트너십을 구축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샌디에이고시, UCSD와 협력은 울산 주력산업 고도화와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샌디에이고는 캘리포니아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생명과학, 항공우주, 반도체 등 첨단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바이오 분야가 발달해 1000여개 기업에 73만여명이 근무하며 약 270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2020년 기준)하고 있는 미국 바이오산업 중심지다.
보스턴, 샌프란시스코와 함께 미국 3대 생명 연합지구(바이오 클러스터)로도 꼽힌다. 반도체 분야도 캘리포니아 주요 허브로, 퀄컴을 비롯해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 립프로그 등 주요 반도체기업이 소재하고 있다.
UCSD는 생명공학 분야 세계 최고라는 평가를 받는 주립 종합대학으로 노벨상 수상자를 27명이나 배출했다. 샌디에이고 바이오 클러스터의 핵심 주체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