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25일 “거대한 신수출 시장을 얻게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원전과 수소, 인공지능(AI), 디지털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우리 기업과 국민이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늘 새로운 기술이 출현할 때마다 새로운 규범과 표준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으며, 이러한 논의를 주도한 나라가 예외 없이 해당 기술과 산업의 발전을 주도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원전과 수소 등 무탄소 고효율 에너지의 이용을 확산하고, 국가 간 기후 격차 해소를 도모하기 위한 '무탄소(Carbon Free) 연합'의 출범을 제안했다. 또 우리나라가 강점을 지닌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디지털 취약국 국민이 교육, 보건, 금융 서비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ODA(공적개발원조)를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관련해 디지털 권리장전 발표, 우리 연구진·기업과 미국 뉴욕대의 'AI 디지털 비즈니스 협력 파트너십'도 체결됐다.

윤 대통령은 CF연합에 대해선 “우리가 주도하는 '무탄소 연합'이 성과를 거둔다면 우리의 원전, 수소 분야 경쟁력을 더욱 강화시켜 거대한 신수출 시장을 얻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디지털 질서 주도와 관련해선 “AI 강국이자 우리와 디지털 질서의 방향성을 공유하는 미국과 함께 공동연구, 인력양성, 비즈니스 협력을 확대함으로써 우리의 연구자와 기업들이 북미 시장과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가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Photo Image
<윤석열 대통령과 한덕수 국무총리가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2030세계박람회(엑스포) 부산 유치를 위해 41개 양자 정상회담을 비롯한 48개 외교 행사를 가진 것을 언급하면서는 “우리의 수출과 해외 진출 확대, 투자 유치, 공급망 다변화에 관해 집중 논의하기도 했다. 우리 국민과 기업이 마음껏 뛸 수 있는 운동장을 넓히는데 주력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가 지원하는 ODA로 수원국들이 혜택을 입게 되면, 우리 기업에 더 큰 시장이 열리고 우리 국민에게는 더 많은 기회와 양질의 일자리가 주어질 것”이라며 관계 부처에 정부 간 협의체 구성, 경제사절단 파견 등의 후속 조치를 지시했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