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酒절주절](10)'차례상 청주'는 편견...탁주부터 담금주까지

Photo Image
차례상.(사진=픽사베이)

통문어, 보리빵, 병어, 배추전, 감자전, 메밀전병…. 각 지역마다 기후나 풍습에 따라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이 각각 다르다. 쌀이 귀한 제주지역에서는 보리빵을 올리기도하고 바다가 가까운 전라남도나 경남에서는 통문어를, 산간지역인 강원도는 감자전과 메밀전병을 내놓는다.

차례주도 마찬기지다. 보통 맑은 술인 전통 청주(약주)를 올리지만 지역이나 집안 풍습에 따라 탁주나 담금주를 쓰기도 한다.

부산, 경남 지방은 차례상에 막거리와 동동주와 같은 탁주를 올리기도 한다. 막걸리는 시큼하고 걸쭉한 맛이 특징이라 떡국이나 나물, 두부와 같은 자극없는 음식과도 잘 어울린다.

경북지방은 차례상에 주로 청주를 올린다. 경북 지방 대표 명주로는 경주교동법주를 꼽는다. 충청지방을 대표하는 술은 한산소곡주이다. 찹쌀을 빚어 100일동안 익혀 만드는 한산소곡주는 무침요리나 한과와 궁합이 잘 맞는다.

강원 지방에서는 특별히 차례상에 올리는 지역 명주가 따로 없지만 산간지역에서 채취한 약초나 상황버섯 등으로 만든 담금주를 올린다. 호남 지방은 전주 이강주가 소문난 지역 명주다. 이강주는 토종 소주에 배와 생강을 넣어 빚은 술인데 달콤새콤한 맛으로 육류와 궁합이 잘 맞는다. 이외에도 고창 특산물인 복분자주를 차례주로 놓기도 한다.

요즘에는 정종을 흔히 차례주로 쓰지만 사실 정종(正宗:마사무네)은 일본식 청주제조법으로 만든 일본 사케 브랜드명이다. 정종이 차례주로 보급화된데는 아픈 역사에서 기인한다. 일제 강점기 자가양조금지법으로 집에서 술을 빚는 가양주를 금지하고 1960년대 양곡보호정책으로 우리 술 제조에 쌀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일본식 청주가 전통 제주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 것이다.

약주라는 주종 명칭도 일제시대 만들어진 주세법의 잔재로 일본식 청주와 구분해 관리하기 위해 우리 고유의 청주에 붙여진 이름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고려 말 이래 '주자가례(朱子家禮)'가 전해지면서 일반 사대부 집안의 제사에서 음복이 행해졌다. 오늘날은 차례를 올린 후 그 자리에서 웃어른이 술을 한 모금 마시고 음식을 먹는 것으로 음복을 한 후 가족들이 다같이 음복을 하는데 이것은 한 해 동안 모든 가족들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일종의 축제적인 성격을 띤 의식이라 할 수 있다. 이번 명절은 가족과 함께 우리 술인 전통주를 즐겨보는 것은 어떨까.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