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연구회 창립 포럼]엄열 과기정통부 국장 “AI 산업 발전, 기술부터 인력까지 밀착 지원”

“인공지능(AI) 일상화로 세계 최고 수준 초거대AI 생태계를 확보하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AI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제도와 문화 정착이 필요합니다.”

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지난 6일 열린 '생성형AI연구회 창립 포럼'에서 생성형AI 현황과 육성 정책을 밝혔다.

Photo Image
생성형AI연구회 창립 포럼 및 AI인력양성 협약식이 지난 6일 서울 서초구 전자신문사에서 열렸다.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정책관이 발표하고 있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엄 국장은 “한국은 독자적 초거대AI를 보유한 4개국 중 하나”라며 “5개 기업이 초거대AI를 갖고 있으며, 정부는 경쟁력있는 초거대 AI 플랫폼을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초거대AI는 생성형AI 중에서도 모델 크기와 학습 데이터 규모가 더 큰 AI다. 초거대AI를 보유한 국가는 미국, 중국, 이스라엘, 한국이다. 네이버, KT, SK텔레콤, LG, 카카오가 초거대 AI를 갖고 있다.

엄 국장은 “국내 기업은 비영어권 초거대AI 시장에서는 경쟁력이 있다”며 “또 AI 응용 서비스가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어 도메인(전문) 분야에서 유니콘 기업을 넘어 글로벌 기업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엄 국장은 초거대 AI 생태계 확보에 필요한 과제로 △산업 인프라 확충 △혁신 생태계 조성 △범국가 AI 혁신 제도 정착을 꼽았다.

Photo Image
생성형 AI연구회 창립포럼 및 AI인력양성 협약식이 지난 6일 서울 서초구 전자신문사에서 열렸다.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그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초거대AI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며 “정부는 초거대AI 기반이 되는 컴퓨팅 파워, 데이터, 알고리즘 인프라를 확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양질의 데이터 학습이 중요해 예산을 많이 투입하고 있다”며 “AI는 거짓 답변과 최신 정보 미반영이라는 리스크가 존재하는데 이를 알고리즘 기술로 해결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엄 국장은 정부와 민간이 추진하는 초거대AI 융합 5대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법률, 의료, 상담, 문화·예술, 학술·연구 분야에서 AI와 결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민간 투자 유도해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한다.

엄 국장은 “초거대AI 생태계 구성은 인력 양성이 밑바탕”이라며 “정부는 AI석박사 정규과정과 재직자 비정규 과정을 놀려 인재 양성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AI는 누구나 접근해서 사용해야 생태계가 구성되기 때문에 일반 국민 100만명에게 초거대AI 활용 방법을 안내하는 리터러시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디지털 대변혁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은 글로벌 AI 지수 7위, 정부 AI 준비 지수 10위다. 신규 기업의 30% 가량이 AI 기업, AI 연구개발(R&D) 투자는 연평균 17% 늘고 있다. AI는 성장 동력이면서 동시에 부작용도 존재한다. 정부는 AI 기술이 사회 곳곳에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게 각종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

엄 국장은 “디지털 신질서 협의체, AI법제정비단, AI윤리포럼 등으로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며 “국회에 AI 관련 법안이 제출된 상태로 국회와 협의하면서 규체 체계를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회 각계 공론화 과정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국민과 함께 디지털 경제를 가속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