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정委, "'하나의 정부' 목표...부처간 협업해 혁신적 대국민 서비스 지원"

내달 구체적 로드맵 공개
데이터 공유 칸막이 극복
AI 기술로 과학행정 구현

Photo Image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31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간담회를 개최하고 위원회 성과와 향후 방향 등을 공유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제공

정부가 부처 간 원활한 데이터·시스템 공유 체계를 구축해 혁신적이면서 편리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지원한다. 인공지능(AI), 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도입해 과학적이고 투명한 정부도 구현한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31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에서 간담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방향을 중심으로 구체적 디지털정부플랫폼 로드맵을 만들어 3월 공개한다고 밝혔다.

고진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위원장은 “우리나라 전자정부 성공은 역설적으로 부처 간 칸막이를 높이고 시스템과 데이터 연계를 어렵게 했다”면서 “1100여개 기관의 1만7060여개 시스템 대다수가 연동되지 않아 데이터 파편화 현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거나 선도적 서비스를 내놓지 못한다”고 진단했다.

위원회는 부처간 사일로를 극복한 '하나의 정부' 구현을 목표로 정했다. 부처간 데이터를 공유·융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데 지원한다.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련법 개정도 준비 중이다. 부처간 협력이 중요하다. 행정부, 사법부 모두 하나의 정부로서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고 위원장은 이어 “로드맵에는 부처별 데이터, 시스템 칸막이를 극복해 국민에게 통합·선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을 담을 것”이라면서 “대국민 서비스 개발시 민간 참여를 독려해 민관이 함께하는 디지털정부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정부가 최신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 기반 과학적 정책 수립과 집행·평가가 가능한 환경을 구현하는 방안도 로드맵에 담는다. 로드맵 발표 후 부처별 실적을 추적해 정부 평가에 반영하도록 디지털플랫폼정부 평가 지표도 개발한다.

정부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해 디지털플랫폼정부 이해도가 높은 인재 양성도 중요하다. 서울대 행정대학원과 '디지털플랫폼정부' 교육과정 개설 양해각서(MOU)를 교환하고 이번 학기부터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위원회 내부도 스마트 업무 환경을 조성해 디지털플랫폼정부 철학을 구현하는 데 앞장선다. 전체 회의 속기록을 공개하고 회의자료와 보도자료를 한글과 PDF뿐만 아니라 기계 판독이 가능한 ODT 형식으로 공개한다. 추진단 업무에 민간 협업 도구를 전사 도입하고 개방형 운용체계(OS) 노트북 '온북' 표준 모델을 적용한다.

고 위원장은 “지난해 9월 위원회 출범 후 6개 분과(AI·데이터, 인프라, 서비스, 산업생태계, 일하는방식혁신, 정보보호)에서 100여회 이상 정례회의를 거치며 로드맵을 완성하는 단계”라면서 “새로운 디지털 환경과 국민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지난 20년의 전자정부 발전을 뛰어넘어 새로운 20년을 이끌 정부 운영 철학을 로드맵을 통해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