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관측기반 온실가스 추적시스템을 통해 인간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가 해양 산성화를 심화시킨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2일 전했다.
지금까지는 선박과 부이 등 해양 측정자료로 해수에 녹아있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분석하여 산성화를 규명해왔다. 그러나 기술원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의 연구개발(R&D) 과제를 통해 세계 최초로 대기 중 온실가스 관측자료에 기반한 온실가스 추적시스템을 활용하여 전 지구적 해양 산성화를 규명했다.
연구팀은 이 과제를 미항공우주국 및 해외 대학 등 유수 기관과 국제 공동연구로 진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지난달 12일 게재됐다.
산업화 이후 인류가 대기로 방출한 이산화탄소는 해양에 녹아 해수의 산성도를 높이는데, 연구진은 추적시스템을 활용하여 이러한 해수 산성도 증가가 해양 산성화를 심화시키고 이와 동시에 해양 완충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
특히 이 연구에서 세계 처음으로 밝힌 해양 완충력 약화는 해수 중 이산화탄소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바뀌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해양 산성화로 인해 완충력이 약해지면 이산화탄소가 해양에 오래 저장되지 못하고 대기로 재방출된다.
또 연구팀은 이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파괴된다고 설명했다. 산성화가 심화하면 해양 생물이 외골격을 형성할 때 필요한 탄산염이 부족해져 플랑크톤, 조개류, 산호류 등의 해양 생물은 외골격을 형성하기 더욱 어려워지게 되며, 이로 인해 먹이사슬이 붕괴할 수 있다.
정수종 교수는 “지금은 상대적으로 계산이 용이한 전 지구 대상의 연구를 진행했지만 앞으로는 한반도 지역을 상세하게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겠다”면서 “한국의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과학적 지원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흥진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장은 “이번 연구에 활용된 전 지구 49개 관측소 이산화탄소 자료에 기반한 온실가스 추적시스템은 탄소의 기원 추적 및 배출량·흡수량 파악과 그로 인한 생태계 영향을 밝혀낼 수 있다”면서 “이를 더 발전시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서 요구하는 관측 기반 국가 온실가스 총량 검증과 국가 간 기후변화 협력회의 지원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