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과 사회 전반의 사이버 보안은 곧 국가 안보로 연결되며 사이버 안보를 책임질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혁신 가속화로 스마트공장 등 IT와 산업을 함께 이해하는 융합보안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보안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은 신·변종 사이버 위협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해 사이버 공격의 대상이 되는 등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정부는 사이버보안 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인력의 양적 확대와 최정예 화이트해커, 보안개발자 양성 등 인력의 질적 강화를 동시에 추진한다. ICT기금 등을 투입해 2026년까지 신규 인력 공급 4만명, 재직자 역량 교육 6만명 등 10만명의 사이버보안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특성화고에서 전문대학, 대학, 대학원까지 '사이버보안 정규교육'을 확대·개편하고, 사이버 환경 변화에 대응 가능한 보안 인재를 양성한다. 정보보호 특성화대학은 기존 3개에서 10개로 융합보안대학원은 기존 8개에서 12개로 늘린다. 대학원 과정은 기존 석사에서 석·박사과정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산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교육훈련을 수준별, 분야별로 촘촘히 세분화한 '보안 특화교육'을 도입할 계획이다. 최고급 수준 보안개발자 양성을 목표로 'S-개발자' 과정을 개설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또 현장 연계 강화를 위해 기업이 '보안인재 선발→실무 교육→취업' 전 과정을 주도하고 이를 정부가 지원하는 '시큐리티 아카데미'를 도입하고 현업 직무 중심 'K-Shield 주니어' 교육을 확대하는 등 보안 인력의 질적 수급차 해소를 추진한다.
재직자 등 역량 제고를 위해 실전형 사이버 훈련장 및 훈련 시나리오를 강화하고 지역 정보보호 교육센터를 설립할 방침이다. 실전형 훈련장을 온라인과 지역 기반으로 확대하고 침해사고 기반 온·오프라인 훈련을 고도화해 실제 사고에 대응 가능한 사고대응 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또, 지역교육 저변 확대와 확산을 위해 지역 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거점대학과 협력해 사이버보안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이와 함께 지역 사이버보안 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는 사이버보안 정규교육의 확대, 보안 특화 교육 도입, 산업 연계를 강화한 실무형 인재 양성, 온라인과 지역 기반 상시 인재 양성을 통해 10만명의 사이버보안 인력을 양성하고 궁극적으로 사이버보안 제품 개발부터 위협 대응까지 전 주기에 걸친 '최정예 사이버보안 인력양성체계'를 확립한다. 민간과 공공이 긴밀히 협력하는 사이버보안 대응체계를 강화하여 안전한 디지털 강국을 구현한다는 목표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