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늘어난 국내 제조업, 고금리에 몸살

국내 제조업계 자금조달 수단이 은행이나 증권사 차입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연이어 금리까지 인상되면서 기업 자금사정은 갈수록 나빠질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217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최근 경제상황 관련 기업 자금사정'을 조사한 결과 기업 자금조달 수단이 '은행·증권사 차입'(64.1%)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반면에 금융기관을 거치지 않고 자금을 조달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내부 유보자금'(23.9%), '주식·채권 발행'(7.1%) 순으로 4곳 중 1곳에 불과했다.

Photo Image
국내 제조업계 1순위 자금조달 방법(자료: 대한상의)

코로나19 유행 이전과 비교해 늘어난 자금조달 수단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64.4%의 기업이 '은행증권사 차입'을 선택했다. '내부 유보자금 활용'(32.2%) '정부지원금'(17.0%) 등이 뒤를 이었다. '주식·채권 발행'을 꼽은 기업은 3.3%에 그쳤다.

최근 회사채 발행규모는 크게 줄고 있다. 금감원 통계에 따르면 일반회사채 발행 규모가 올해 1분기 12조9050억원에서 2분기 8조8975억원으로 하락했다. 지난 7~8월에는 4조6135억원으로 1분기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작년 동기 대비 감소율 역시 올해 1분기 기준 -13.7%, 2분기 기준 -43.8%이다. 자금조달이 가능하더라도 높은 금리를 감당해야 한다. 만기 3년 BBB- 회사채 금리는 시장 불안심리 확산, 기준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올해 1월 초 8.5%에서 10월 초 기준 11.1%로 2.6%포인트(P) 상승한 상태다.

기업 단기채무 지급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현금흐름보상비율도 인플레, 고금리 상황이 반영돼 1년 전보다 급락했다. 대한상의가 한국평가데이터(KoDATA)와 함께 897개 제조업 상장사의 분기별 현금흐름보상비율을 분석한 결과, 올해 2분기 현금흐름보상비율은 45.6%로 작년 2분기 대비 43.8%P 감소했다. 이는 영업활동 현금유입이 48조9000억원에서 31조2000억원으로 36.2% 감소한 반면에 단기차입금은 60조8000억원에서 71조4000억원으로 17.4% 늘어난 결과다.

자금운용상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응답기업 4곳 중 3곳이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73.3%)를 꼽았다. 고환율로 인한 '외화차입 부담 증가'(25.2%), '자금조달 관련 규제'(18.3%)도 주요 요인에 들었다.

Photo Image
자금운용 리스크 요인(자료: 대한상의)

자금운용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는 '매출 부진에 따른 현금흐름 제한'(63.7%), '생산비용 증가'(57.5%), '고금리 부담'(43.6%)을 꼽은 기업이 많았다.

우리 기업 부채 상황은 해외에 비해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었다. 9월 국제결제은행(BIS)에서 발표한 올해 1분기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43개국 중 15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2017년의 19위에서 4계단 상승한 순위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국내 경기상황을 고려한 통화정책과 단기적 유동성 위기를 겪는 기업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을 늘리고, 기준금리와 시중금리 갭을 줄이고, 자금조달 수단을 다양화하는 금융정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