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분기 GDP 성장률 0.7%…수출 부진에 비관적

늘어난 민간 소비가 경기 주도
건설·제조·농림어업은 역성장
금리인상 기조에 소비 발목 우려

Photo Image

우리나라의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7%를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늘어난 민간 소비가 성장률을 지탱했다. 수출 감소로 성장률은 크게 둔화됐다.

한국은행은 1일 지난 2분기 연간 실질 GDP 잠정치가 전 분기 대비 0.7%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7월 26일 발표한 속보치와 동일하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3%)·4분기(1.2%)와 지난해 1분기(1.7%)·2분기(0.8%)·3분기(0.2%)·4분기(1.3%), 올해 1분기(0.6%)에 이어 이번 2분기까지 8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보였다.

Photo Image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의류 등 준내구재와 오락문화·음식숙박 등 서비스 부문 중심으로 2.9% 증가했다. 일상회복 속에 늘어난 민간 소비가 성장을 이끈 셈이다.

설비투자의 경우 운송장비는 줄었지만 기계류가 늘면서 0.5% 성장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 위주로 0.2% 증가했다. 정부 소비도 사회보장 현물수혜 등 영향으로 0.7% 늘었다.

반대로 지금까지 우리 경제의 성장을 이끌어 온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 영향을 피하지 못하고 3% 이상 고꾸라졌다.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등이 3.1% 줄었다. 수입은 원유·천연가스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1.0% 감소했다.

업종별 성장률을 봐도 민간 소비가 성장률을 이끌었다는 게 드러난다. 서비스업이 1.8% 증가했다. 특히 숙박·음식점(17.2%), 운수업(8.1%) 등의 상승 폭이 컸다. 반면에 건설업(-0.1%), 전기·가스·수도업(-0.6%), 제조업(-0.7%), 농림어업(-8.7%)은 역성장했다.

한은 관계자는 “민간 소비의 주요인은 방역이 완화하면서 대면 서비스 중심으로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소비 위주 성장이 언제까지 가능할지는 의문이다. 특히 반도체 등의 수출 부진이 심화하고 원유와 같은 원자재 수입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소비 의존도만 높아지는 점도 문제다.

Photo Image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소비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 현재 2.5%인 기준금리는 연말까지 3.0%로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식,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내려가고 이자 부담은 늘어 허리띠를 졸라매는 소비자가 많아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기준금리가 0.15%포인트(P) 오르면 민간 소비가 0.15% 감소한다는 한은 분석도 있다.

하반기 성장률은 0%대 초반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이 전망하고 있는 올해 성장률 목표치(2.6%)를 달성하려면 앞으로 어느 정도 성장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3분기와 4분기에 각각 0.1~0.2% 성장하면 2.6% 도달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경제 전문가들은 한은보다 보수적 시각을 갖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발간한 '8월 경제동향'에 따르면 국내 경제전문가 16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이들은 올 성장률이 2.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KDI는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 부진이 주춤하면서 완만한 경기 회복세가 지속됐지만 고물가와 대외 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 요인이 고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경제연구원도 각각 2.3%, 2.4%로 성장률을 전망했다.


김민영기자 my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