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과 규모, 전문성 모든 면에서 교육 환경을 보호하고 학생 건강을 지키는 실질적인 전문기관으로 만들겠습니다”
지난 1월 취임한 조명연 한국교육환경보호원장은 3개월이 지난 지금도 취임사를 수첩 앞에 붙이고 다닌다. 직원들과 약속이었으며 동시에 학생 건강 지킴이로서 살아왔던 자신과의 약속이기도 하다. 국가 예산에 기반한 규모 있는 사업과 직원 복지 향상을 통해 우수 인재를 영입하고 이것이 또 교육환경보호 밑거름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 그의 취임사였다.
조 원장은 “2018년 설립된 교육환경보호원은 그동안 외적인 틀을 갖춰왔다고 할 수 있다”며 “실질적인 전문기관으로 거듭나도록 하는 것이 앞으로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교육환경보호원은 개발 사업과 유해시설로부터 교육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기관이다. 2016년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2018년 2월 설립됐다. 이제 갓 4년을 넘긴 교육환경보호원은 교육환경평가서 검토를 주로 해 오며, 학생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지원활동도 해왔다. 전국에 초중고교만 1만여개, 학생은 500만명이 있지만 그 전에는 교육환경을 보호하고 평가하며 학생건강을 위해 활동하는 기관조차 없었던 셈이다.
지난해 퇴직 전까지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장으로서 학교 코로나19 대응 최전선에 있었던 조명연 원장은 코로나19 이후 회복 활동에도 뛰어들었다. 교육환경보호원은 최근 학생정신건강센터로 지정됐다. 코로나는 학습 결손뿐만 아니라 학생 정신건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조사에서 학생들은 코로나19로 상당한 학업 스트레스를 느끼고 인터넷·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대폭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보호원이 격리 중인 확진 학생이 우울감과 고립감을 느끼지 않도록 심리상담을 연계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그는 “특별한 프로그램 몇차례 하는 식으로 치유를 할 수는 없을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자연스럽게 치유될 수 있도록 학생 심리지원이 이뤄지도록 노력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1995년 서울교육청에서 교육부로 자리를 옮긴 후 퇴직 전까지 한 번도 교육부를 떠나지 않고 학생 건강 관련 정책을 책임졌다. 다른 직원들은 대학에 파견나가기도 하고 연수를 다녀오기도 했지만, 감염병·식중독 등 크고 작은 건강 이슈가 있었던 탓에 본부를 한번도 떠난 적이 없다. 누구보다 학생 건강 정책 관련 고민이 깊었던 인물이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나타났을 때 학교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시시각각 대응하느라 발발부터 지난 해 말 퇴직 전까지 2년동안 몸무게가 14kg나 빠졌다.
조 원장은 이제 학생 건강에서 더 나아가 교육환경을 보호하는 전문기관 수장으로서 해보고 싶은 사업들이 많다고 했다. 공직생활 30년 넘게 학생 건강 정책을 챙기면서 했던 고민들의 결과다. 급식 환경이나 시스템에 대한 연구, 학생건강검진 체계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안전하고 쾌적한 교육환경을 이루기 위한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조원장은 “현장 중심 정책을 위한 조사·분석,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지원 업무를 비롯해 과제들을 전문기관으로서 하나씩 수행해 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문보경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