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1월부터 10월까지 국내 유통 중인 국산 11종, 외산 시멘트 1종 중금속 및 방사능 물질 농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제품이 자발적협약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08년 '시멘트 소성로 환경관리 개선 계획'을 수립한 이후, 국내 유통되는 시멘트 제품 12종을 대상으로 매월 자발적협약 기준 '6가 크롬 20㎎/㎏'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2008년 9월부터 6가 크롬, 비소, 카드뮴, 수은, 납, 구리 등 중금속 6개 항목을, 2019년 9월부터 세슘(134Cs, 137Cs), 요오드(131I) 등 방사능물질 3개 항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올해 조사한 12종 제품의 6가 크롬 평균 농도는 6.76㎎/㎏으로 자발적협약 기준인 20㎎/㎏을 초과한 제품은 없었다. 세슘 등 방사능물질 3항목도 모두 '불검출'인 결정준위 미만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립환경과학원은 폐기물을 '대체 원료(석탄재 등에서 점토질 및 규산질 성분 활용)'나 '보조 연료(소성로 열원)'로 사용해 국내에서 생산된 포틀랜드 시멘트 제품 10종에 대한 지난 13년간 중금속 검출 추이를 분석했다. 대체 원료는 석탄재 등에서 점토질 및 규산질 성분을 활용되고 보조 연료는 소성로 열원으로 쓰인다.
분석 결과, 자발적협약 관리대상인 6가 크롬의 13년간 평균 농도는 자발적협약 기준치 이하인 8.6㎎/㎏으로 나타났다. 관찰대상 5개 중금속의 13년간 평균 농도는 비소 12㎎/㎏, 카드뮴 4.9㎎/㎏, 수은 0.1㎎/㎏, 납 68.3㎎/㎏, 구리 106㎎/㎏으로 나타났다.
비소, 카드뮴, 수은 등 3종의 13년간 검출 농도 범위는 평균 검출농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납과 구리의 13년간 평균 농도는 토양오염우려기준 1지역 기준보다 아래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시멘트 제품의 유해물질을 지속적으로 조사해 폐기물을 대체 원료·보조 연료로 재활용하는 방식에 제기되는 유해성 문제에 대응할 계획이다. 또 지난 조사 결과와 과학적인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6가 크롬의 자발적협약 기준을 강화하고, 비소, 카드뮴, 수은, 납, 구리 등 기존 관찰대상 5개 중금속의 신규 유해물질 관리항목 추가를 검토할 예정이다.
유명수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장은 “시멘트 제품의 안전성 점검을 지속하고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폐기물을 대체 원료나 보조 연료로 사용해 생산된 시멘트 제품을 철저하게 관리해 국민 불안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