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회 스마트금융콘퍼런스]신장수 금융위원회 금융데이터정책과장 "의료·통신·유통 등과 융합 마이데이터 기대"

Photo Image

금융당국이 향후 마이데이터 산업 발전을 위해 금융과 타 업종 간 데이터 융합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금융 데이터에 의료뿐만 아니라 통신, 유통 분야 데이터가 결합됐을 때 마이데이터 산업이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신장수 금융위원회 금융데이터정책과장은 18일 제13회 전자신문 스마트금융 콘퍼런스에서 “데이터는 서로 상호개방하고 공유, 결합할때 데이터 가치가 제고된다”고 말했다.

신 과장은 “타 업종 간 데이터가 융합되면 관련 신산업이 창출되고, 청년층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도 만들 수 있다”면서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상호 개방하고 활용할지에 대해 사업자, 관련 기관들의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앞으로 마이데이터 시대에서 디지털 취약계층에 대한 보완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신 과장은 “디지털 단말기 등에 접근성이 떨어지는 분들에게 어떤식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 가능하게 할지 보완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마이데이터 산업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과장은 “데이터 산업이 활성화되려면 개인정보 보호 강화가 전제되어야 한다”면서 “예컨대 보험 관련 의료정보 등 민감정보에 대한 안전한 처리 및 활용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와 더불어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서 사업자간 차별화된 서비스가 마이데이터의 성공적 안착 여부에 중요한 요소라고 지적했다.

그는 “마이데이터 사업자 간 서비스가 유사하거나 차별성이 없으면 소비자 편익이 감소한다”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해서 금융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차별화된 서비스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내년 1월1일 마이데이터 API(표준 응용프로그램개발환경)의무화를 앞두고 사업자들에게 준비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신 과장은 “마이데이터가 시행되면 여러 예상치 못한 이슈들이 나올 수 있는데, 마이데이터사업자와 정보제공자, 이용자 간 충분한 소통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면서 “금융당국도 마이데이터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지혜기자 jihy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