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팅·네트워크 자원 효율적 사용 조절하는 프레임워크 알고리즘 제안
6G시대 클라우드 오프로딩, 네트워크 방화벽, 라우팅 통합 성능 향상 기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곽정호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팀이 6G서비스에 최적화된 '통합 컴퓨팅·네트워크 체이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9/1451456_20210906111741_720_0001.jpg)
컴퓨팅 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동시에 고려해 처리하는 기술로 실사용에서 높은 체감품질(QoE)을 달성해 향후 6G 시대 다양한 킬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이 기대된다.
현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체이닝 기술은 네트워크 통신 트래픽만을 고려하는데 그치고 있다. 하지만 향후 개발될 6G 네트워크를 활용한 VR·AR 서비스나 홀로그램 그래픽 서비스는 단말기가 처리해야할 데이터 양이 엄청나기 때문에 모바일 단말기가 네트워크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와 함께 이러한 정보들을 처리하는 기술이 활발히 이용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곽 교수팀은 전체 네트워크상에서 이용 가능한 여러 컴퓨팅 자원과 네트워크 통신 트래픽 자원을 실시간으로 고려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끔 조절하는 프레임워크와 'DualRMR'이라 불리는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9/1451456_20210906111741_720_0002.jpg)
이 프레임워크와 알고리즘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양과 수준에 따라 네트워크 자원 할당과 라우팅을 결정한다. 가령 많은 프로세싱 사이클을 요구하는 클라우드 오프로딩 서비스는 필요한 시기에 가장 많은 컴퓨팅 자원을 가진 서버와 모바일을 연결할 수 있다.
실제로 미국 인터넷망에서 시뮬레이션을 진행, 개발한 DualRMR 알고리즘이 기존에 사용 중이던 사용성 최대화 알고리즘 대비 동일한 처리율과 공평성 성능에서 평균 21.7% 시스템 비용 절감을 확인했다. 기존 시스템 비용 최소화 알고리즘 대비 동일한 시스템 비용에서 73.3% 더 높은 처리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곽정호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시공간 변화에 따라 네트워크와 컴퓨팅 자원을 동적으로 활용하는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성능과 시스템 자원 최적화에 적합한 기술”이라며 “향후 6G 시대 원격의료 서비스나 홀로그램 그래픽 서비스와 같은 컴퓨팅 자원을 동적으로 활용하는 여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김영진 인하대 교수팀, 정송 KAIST 교수팀, 이향원 건국대 교수팀이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최근 관련 분야 국제학술지인 'IEEE Transactions on Cloud Computing'에 온라인 게재됐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