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일부 전문가의 '위드 코로나' 주장에 “전혀 고려치 않고 있다”

문 대통령 '10월 전국 70% 접종 완료' 발언과 '11월 집단면역' “다르지 않다”

Photo Image
청와대.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청와대는 18일 일각에서 주장하는 '위드 코로나'에 대해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일축했다.

위드 코로나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되자 영국과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에서 추진하는 '코로나와 함께 살기'를 일컫는다. 이들 나라는 집단면역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코로나19 감염방지가 아닌 사망방지로 국가 정책을 수정했다.

국내에서도 일부 전문가를 중심으로 정부 방역정책을 위드 코로나로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마스크 쓰기, 사회적 거리두기 등이 현실적으로 효용성이 없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위드 코로나 등 새로운 방역체계에 대해 많은 전문가들이 이야기를 하지만, 현재로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것(위드 코로나 등 새로운 방역체계)은 아마도 어느정도 접종률이 담보된 상태에서 새로운 방역 전략이 가능하지 않은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코로나 위기 역시 어느 선진국보다 안정적으로 극복하고 있다. 델타 변이 확산으로 인한 4차 유행도 반드시 이겨낼 것”이라며 “백신 접종도 목표에 다가가고 있다. 10월이면 전 국민의 70%가 2차 접종까지 완료할 것이며, 목표 접종률을 더욱 높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당초 목표 일정이 당겨진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언급하고 정부가 추진 중인 '11월 집단면역'과 문 대통령이 광복절에서 밝힌 '10월 전 국민 70% 접종 완료'가 다르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이전에는 11월 초 집단면역이라는 표현을 썼다. 전 국민의 70% 접종 완료를 집단면역이라고 했다”며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2차 접종 후 면역 형성 기간인 2주의 시간이 필요한 만큼, 10월까지 70%의 접종을 완료해야 11월 초에 집단면역을 달성한다는 뜻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 계획은 달라진 바 없고, 대통령의 최근 말씀으로 일정이 당겨진 것은 아니다. 델타 변이가 유행하면서 지금은 70%가 될지 90%가 될지 집단면역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는 것이 적절할 것 같다”고 했다.


안영국기자 ang@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