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6/1425412_20210620131958_498_0001.jpg)
정부가 해외 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 수주 활동에 적극 힘을 싣고 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체코 현지에 직접 찾아가 '원전 세일즈'을 벌인 것은 조용하게 원전 수출 정책을 추진했던 이전 행보와 다르다는 평가다. 원전 수주가 향후 10년을 내다보고 움직여야 하는 정책인 만큼 지속 지원이 관건이다.
문 장관은 18일(현지시간) 안드레이 바비쉬 체코 총리와 카렐 하블리첵 체코 산업통상부 장관을 만나 원전 수주활동을 벌였다. 체코 정부에 아랍에미레이트(UAE) 원전 상업운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우리나라 원전 전문성과 체코 제조 기술력이 결합하면 시너지가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바비쉬 총리와 하블리첵 장관의 방한도 요청했다. 방문이 성사되면 본인이 직접 동행하면서 우리나라 원전 안전성과 우수성을 확인시켜 줄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당초 30분간 예정됐던 총리 면담은 1시간이 넘게 열린 만큼 긍정적 분위기에서 열렸다. 이날 장관 면담에는 정재훈 한수원 사장도 배석해 적극적으로 '원전 세일즈'를 벌였다.
산업부에서 장관이 직접 나서서 원전 수출을 지원 사격한 것은 그간 원전 정책을 조용히 수행했던 것과 달라진 모습이다.
문재인 정권 들어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추가 원전 건설을 기대할 수 없었다. 산업부 내에서도 원전 산업을 '해체'와 '수출' 두 축을 중심으로 전환했다. 지난해 '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평가'에 대한 감사원 감사결과가 나오고, 이어 현직 공무원이 구속되는 사태까지 이어지면서 원전 정책은 더욱 위축된 상태였다.
문 장관이 현지에 나가 원전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체코 총리를 예방한 것은 이전과 다르게 원전 수출 정책에 공개적으로 힘을 싣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원전 수출 사업을 장기간 지속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문한다. 원전 수주 사업은 10년 간 장기간 공을 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만 하더라도 15년 뒤인 2036년 상업운전이 예상된다.
원전 수주시 사업 효과와 파급력은 크고, 사업실적을 확보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에 장기간 지원이 필요하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 사업 규모는 약 8조원이다. 우리나라가 수주를 달성하면 UAE 바라카 원전과 더불어 안정적인 실적을 확보할 수 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