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충북·대전·대구 등 의향서 제출
부지 적정성 등 평가…7월 후보지 선정
2024년까지 국비 2500억원 투입 예정
“지역 특성 고려 없이 무조건 뛰어들어
경쟁 과열에 정치권 입김 작용” 우려도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5/1417374_20210527164016_930_0003.jpg)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하는 바이오 창업 특화지원 시설 'K-바이오 랩허브' 구축사업에 전국 12개 광역지방자치단체가 참여 신청을 마쳤다.
신청 지자체들은 서로 장점을 내세우며 최적지임을 알리는 유치전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K-바이오 랩허브 구축을 추진할 지자체를 모집한 결과 강원, 경기, 경남, 경북, 대구, 대전, 부산, 인천, 전남, 전북, 제주, 충북 등이 의향서를 최종 제출했다고 27일 밝혔다.
K-바이오 랩허브는 '모더나'를 배출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보스턴 바이오 스타트업 지원기관 '랩센트럴'을 벤치마킹한 것이다.
바이오 창업기업이 실험·연구부터 임상실험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설·장비를 지원하고 협업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105/1417374_20210527164016_930_0002.jpg)
중기부는 오는 7월까지 최종 후보지가 선정되면 2024년까지 국비 2500억원을 투입해 공간 조성을 마칠 계획이다.
다만 후보지로 결정된 지자체와 지방비 분담 등 세부계획을 수립하고 예비 타당서 조사 등 단계도 거쳐야 한다.
최종 후보지 선정을 위한 중점 평가 항목은 부지 적정성, 사업 운용과 지원계획 타당성, 주변 인프라·지자체 지원 역량 등이다.
평가를 앞둔 지자체들은 K-바이오 랩허브 유치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대전시는 허태정 시장의 권칠승 중기부장관 면담에 이어 K-바이오 랩허브 유치 추진단을 꾸려 활동을 시작한 상태다. 다른 지자체들도 바이오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만들겠다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치고 있다.
일부 우려 시각도 있다. 지역 특성과 갖춰진 인프라 등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식의 공모사업 뛰어들기라는 지적이다.
지자체 경쟁이 과열되면 평가 과정에서 정치권 입김이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중기부 관계자는 “평가는 중점 항목을 바탕으로 공정하게 이뤄질 것”이라며 “좋은 조건을 갖춘 지자체가 선정되면 협력을 통해 예비 타당성 조사 준비 작업부터 착실히 시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