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오대건 지능형로봇연구부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능동위상배열(AESA) 드론 탐지 레이더 기술이 방위사업청(청장 왕정홍) 'RADAR연동 안티드론 통합솔루션' 신속시범획득사업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새해 6월경 육군, 해군, 공군에 인도 후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6638_20201217115750_955_0001.jpg)
방위사업청에서 올해 처음 추진된 신속시범획득사업은 기술발전 속도가 빠른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군에 신속히 도입해 적용하기 위해 민간 혁신기술을 제안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국방혁신사업이다. 'RADAR연동 안티드론 통합솔루션' 사업은 레이더를 통해 중요시설에 접근하는 적의 소형 드론을 탐지하고 전파교란으로 무력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6638_20201217115750_955_0002.jpg)
오대건 박사 연구팀은 지난해 순수 국내 기술로 세계 최고수준의 3km 이상 떨어져 비행하는 초소형 팬텀 드론 식별 레이더 시스템을 개발해 국내외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최근에는 '매트리스 600'과 같은 소형드론을 8km까지 탐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성과는 현재까지 전 세계 드론 탐지 레이더 시스템 중에서도 세계 최고 수준이다. 최대 탐지거리 향상을 위해 AESA 레이더 기술을 더욱 고도화시켰으며, 드론 위치와 속도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다차원 초고해상도 레이더 신호처리 기술을 접목했다. 오 박사는 상용화를 위해 올해 DGIST 연구원 창업기업 'TORIS'를 설립했다. 이번 방위사업청 신속시범획득사업에 소속 기관인 DGIST와 함께 참여하게 됐다.
오대건 박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DGIST의 지속적인 연구 지원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레이더 원천기술을 축적할 수 있었다. 향후 미국, 유럽, 이스라엘 위주의 드론 탐지 레이더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