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반 산업혁신 정책간담회] 정부, 산업 전반에 '디지털 DNA' 입힌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국내 기업 규모별 빅데이터 · AI 활용률국내 산업별 빅데이터 · AI 활용률

정부는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개화,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라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글로벌가치사슬(GVC)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포석이다. 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 혁신 전략을 앞세워 디지털경제 주도권을 노린다.

정부는 지난 8월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전략을 발판으로 세계 4대 산업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적시·적절한 산업 데이터 활용 지원 △데이터·AI 활용한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을 3대 추진 방향으로 제시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데이터 활용 부문에서는 '산업데이터'에 주목했다. 산업데이터는 모든 산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뜻한다. 현재 국내외에서 디지털화가 추진되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빅데이터 산업을 좌우할 핵심 요소다.

정부는 업종별 데이터 특성과 협업 유형을 감안한 '문제 해결형 산업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소재 등 10대 주력산업에서 총 30개를 확보할 방침이다. 공공 산업 데이터를 개방하고 공유를 확대하기 위한 AI 기반 지능형 서비스도 마련한다.

산업 밸류체인 고도화 부문에서는 데이터와 AI를 핵심 키워드로 삼는다. 산업 R&D를 혁신하고 지능형 디자인·설계 고도화 플랫폼 구축하는데 집중 활용할 방침이다. 소재·부품 등 전략 산업 생산공정을 혁신하는 데도 데이터·AI를 적용한다. 전통 장치 산업을 고도화하는 한편 에너지 생산 효율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또 △자율 제어 △고객 맞춤형 △제조기반 서비스를 3대 축으로 삼아 지능형 신제품과 신서비스 발굴에도 나선다. 상품 정보 판매망 등 유통 데이터를 활용한 유통 서비스 개발 및 지능형 물류 공급망 구축도 개시한다.

디지털 기반 산업혁신 전략을 현실화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먼저 국회와 함께 '산업의 디지털전환 및 지능화 촉진법(고민정 의원 대표발의)' 제정을 신속하게 추진한다. 산업데이터 정의를 명확히 규정하는 한편 산업 데이터 거래를 위한 가이드라인 정립 등을 위해서다.

인력 양성을 위해 업종 전문성을 보유한 재직자 중심으로 현장 디지털 전문인력 교육을 강화한다. 내년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석·박사 급 AI 전문인력을 산업 전반에 수혈하기 위한 밑그림이다.

통상 부문에서는 해외 데이터 수집·활용과 데이터 기반 신산업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디지털 통상협정(DPA) 본격화할 방침이다. 국가 간 데이터 교류·활용 촉진, 데이터 기반 신산업 국가간 상호 운용성 확보 등을 위한 디지털 협력사업도 발굴할 계획이다.


윤희석기자 pione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