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한국서도 '모든 앱 수수료 30%' 받는다

하반기부터 '인앱결제' 적용
디지털 콘텐츠 업계 全 영향권
자체 결제 시스템 사용 못해
"이익 규모 축소 불가피" 난색

구글이 올 하반기부터 국내에서 게임 외 애플리케이션(앱)에도 30% 수수료를 부과·징수한다. 이르면 다음 달 관련 방침을 발표한다. 자사 결제 시스템 사용을 사실상 강제하는 것으로, 웹툰·음원·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 디지털 콘텐츠 업계가 영향권에 들어간다. 업계의 이익 축소와 이용자 요금 인상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네이버, 카카오 등 대형 인터넷 업체에 플레이스토어 앱 결제 정책 변경을 안내했다.

게임을 제외한 앱에도 '구글 빌링 플랫폼'을 적용하는 것이 골자다. 매출을 구글 빌링 플랫폼을 통해 발생시키고 수수료를 받겠다는 것이다. 구글 관계자는 “공식 언급은 어렵다”고 말했다. 대형 인터넷 업체 역시 “내용 파악이 더 필요하다”며 입장 표명을 보류했다.

구글은 이들 업체에 유예 조건과 수수료 요율 등을 안내한 것으로 파악됐다. 첫해 약 30% 수수료를 부과하고 이용자 유지 기간에 따라 수수료 비중을 차감하는 것이 유력하다. 기존 앱에는 유예 기간을 두고 신규 앱에는 바로 적용할 방침이다. 업계는 구글 빌링 플랫폼 도입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구글은 그동안 국내 플레이스토어에서 게임을 제외한 앱에 다양한 결제 수단을 허용했다. 정책 가이드라인에 자사 결제 시스템 사용을 명시했지만 강제하지는 않았다. 매출 규모가 큰 게임 분야에만 구글 빌링 플랫폼 적용을 의무화했다. 콘텐츠 업체들은 자체 결제 시스템이나 결제 대행 수단을 우선 도입해 왔다. 구글 빌링 플랫폼 수수료는 매출액의 30%인 데 반해 자체 결제 수단 등을 통하면 수수료가 구글 빌링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플레이스토어에 웹툰·음원·동영상 앱을 등록해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자체결제시스템, 해외에서는 구글 빌링 플랫폼을 적용했다.

구글 방침에 디지털 콘텐츠 업계는 난색을 표했다. 이익 규모가 줄어들 것이 빤하기 때문이다.

플랫폼 업체 대표는 “구글이 자체 결제 시스템의 강제 적용을 시도한 것이 이번이 처음 아니다”면서 “지난 2010년을 전후해 구독 모델이 자리 잡기 전에는 강하게 밀어붙이지 않았는데 올해는 분위기가 다르다”고 말했다. 네이버, 카카오 등이 구독 모델을 강화하고 있어 구글도 호기를 놓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다.

OTT 관계자는 “대형 업체를 시작으로 중소 규모 업체에도 비슷한 조건으로 협상이 시작될 것”이라면서 “자금력이 충분한 곳은 수익 감소를 버틸 수 있겠지만 대부분 업체는 상당한 부담을 느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애플이 이미 iOS에서 자사 결제 시스템을 강제하는 것도 구글엔 명분으로 작용한다. 애플은 초기부터 자사 결제 시스템을 제외한 타 결제 수단을 허용하지 않았다. 수수료 비용이 합산돼 같은 앱이라도 iOS 기반 요금이 안드로이드 기반 요금보다 비싸다. 웨이브는 안드로이드에서 베이직 요금제 월정액이 7000원대인 데 반해 아이폰 이용자는 1만2000원대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경우 안드로이드 이용자는 8000원대에 이용할 수 있는 반면에 iOS 이용자는 1만원 이상을 내야 한다. 멜론도 iOS 정액 이용권이 안드로이드보다 약 4000원 비싸다. 이 때문에 구글 빌링 플랫폼 적용이 보편화하면 이용 금액 상향 평준화가 이뤄질 공산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모바일 기기 운용체계(OS) 점유율 80%에 육박하는 구글이 자사 결제 플랫폼을 강제하는 것은 애플보다 더 큰 파장을 몰고 올 것”이라고 말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