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
ⓒ게티이미지

해외 공공장소에서도 무료 공공 와이파이를 접속할 기회가 많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달리 중앙부처나 지방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공공 와이파이를 구축·운영하는 경우는 흔치않다.

정부 주도 공공 와이파이 사례로는 2000년대 싱가포르와 홍콩이 대표적이다. 싱가포르 정보통신개발청(IDA)은 2006년부터 3개 통신사와 협력해 공공장소 2만여곳에 와이파이 송수신장치(AP)를 구축했다. 총 사업비 약 848억원 중 정부가 30%를 부담했다.

2013년부터 통신사가 구축·운영을 전담했다. 정부는 사업에서 철수하는 대신 인프라 향상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홍콩은 정부정보화책임관실(OGCIO) 주관으로 2008년부터 'GovWifi' 사업을 진행했다. 주요 공공장소 610곳에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전체 사업비 423억원 중 정부가 300억원을 지급했다.

이밖에도 마카오의 우편·전자통신국이 2010년 9월부터 공공 와이파이 사업 'FreeWiFi.MO'를 추진했다. 대만 정부도 지자체가 손잡고 2013년부터 무료 핫스팟 약 4400여개를 제공하고 있다.

정부 예산이 포함되지 않은 공공 와이파이 사업 사례로는 미국 뉴욕시가 대표적이다. 뉴욕시는 공중전화 부스를 와이파이 서비스와 각종 정보제공·검색 기능 등을 지원하는 다용도 통신 키오스크로 대체했다.

당시 프로젝트 명칭은 'LinkNYC'로, 2014년부터 시작됐다. 주정부와 퀄컴, 구글 등이 참여하는 민간 컨소시엄(CityBridge)이 공동 구축했다. 2022년까지 총 7500개 키오스크를 설치할 목표다.

2019년 기준 1800여개를 구축했다. 2300억원 이상이 소요되는 전체 투자비를 민간이 책임지는 대신 주정부는 2026년까지 총 5억달러(약 6155억원) 이상 수익을 보장한다.

LinkNYC 프로젝트는 영국으로 확산된 상태다. 영국 런던은 지난해 'InLinkUK' 사업을 추진했다.


일본에서는 정부와 통신사업자 등이 협력해 주요 교통시설과 관광 거점을 대상으로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