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대응에 최대 48만개 일자리 운명 갈린다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과 기업을 적극 발전시키면 15년 뒤 일자리가 최대 48만개까지 늘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망에 따르면 기존 산업 부문은 서비스 무인화 등 인력 대체에 따라 취업자 수가 줄지만 전문과학, 정보통신 등은 투자 확대로 일자리가 크게 증가한다.

Photo Image

고용노동부는 17일 '2018~2028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을 발표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빠르게 대처하면 2035년 취업자 수가 2822만6000여명(혁신 전망치)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별다른 추가 대책 없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면 같은 해 취업자는 2774만9000여명(기준 전망치)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어떻게 준비하는가에 따라 약 47만7000개의 일자리가 엇갈릴 수 있다는 전망이다.

고용부는 지난해부터 4차 산업혁명 기술 발전 수준에 따라 혁신전망과 기준전망 두 가지 지표의 인력 수급 전망을 발표하고 있다. 올해는 2028년까지 전망에서 지능정보화가 100% 달성된다는 가정으로 기간을 2035년까지 확장했다.

주목해야 할 업종은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과 전자, 정보통신 분야다. 전문과학은 신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 투자에 따라, 전자산업 분야는 디지털 가속화와 스마트 공장 설비 투자로 취업자가 오는 2035년 각각 12만5000여명, 12만여명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전기는 11만3000여명, 기계는 7만4000여명으로 조사됐다. 정보통신 분야는 SW산업과 통신 관련 산업 투자로 6만2000여명 일자리 추가가 전망된다.

반면에 농어업,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는 큰 폭의 일자리 감소가 예상됐다. 농어업 인구도 빠르게 감소한다.

그 외 보건·사회복지와 개인 생활 서비스직, 문화·예술·스포츠 인력 소득증가와 의료기술 발달로 수요가 점차 많아진다.

전체적으로 전문가 중심의 핵심 인력을 필요로 하는 일자리는 늘어나고 인공지능(AI) 등으로 대체할 수 있는 단순노동 일자리는 빠르게 자취를 감출 것으로 내다봤다.

이로 인해 기술 고도화에 따른 성장통도 예상된다. 고용부는 혁신 성장 효과가 전 산업으로 확산되는 2028년 이전에는 혁신 전망치에 따른 일자리 증가 수가 기준 전망치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고용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전망은 기술고도화가 빠르게 진행될 경우 최대치 예상으로 초기에는 전통산업 인력대체에 일자리 감소가 예상된다”며 “하지만 이후 시점부터는 단순직보다 전문직 중심으로 고도화된 일자리가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취업자 수 전망(단위: 천명)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최대 48만개 일자리 운명 갈린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