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년 만에 군부대 원격진료시스템 도입을 확대한다. 군 주무 부처인 국방부가 주도한다. 기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담했다.
올해 말까지 육·해군과 해병대 격오지 13개 부대가 원격진료시스템을 도입한다. 단기적으로 건강하고 안전한 병영문화를 조성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장병 생체정보 측정을 통한 건강·체력관리 분석 체계를 구축한다.
25일 국방부에 따르면 국군의무사령부는 올해 말까지 육군 7곳, 해군 4곳, 해병대 2곳 등 13곳에 원격진료시스템을 신규 도입한다. 2017년 이후 2년 만의 확대다. 첨단 정보기술(IT)을 원격 의료에 접목, 격오지 부대 장병들을 수시로 진료한다.
원격진료시스템 도입은 2015년 미래창조과학부(현재 과기정통부) 주도로 시작됐다. 군 격오지 부대는 환자 진료 접근성이 취약해 적시 의료 지원 제한에 따른 시·공간 제약이 있었다. 실제 섬 또는 경계초소(GP) 등 격오지 부대는 군 의료기관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격리돼 있어 제때 의료 지원을 받지 못했다.
2015년 7월 28곳에 시스템 도입을 시작으로 같은 해 11월 12곳, 2016년 12월 23곳, 2017년 12월 13곳을 신설했다. 현재 총 76개 부대에서 원격진료시스템을 활용하고 있다. 컨트롤타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국군의무사령부 내 의료종합상황센터다. 격오지 부대에서 환자가 발생하면 원격진료센터 의료진이 전송된 환자 생체 정보를 참고해 영상시스템을 이용, 원격 진료에 나선다. 필요 시 수도병원과의 원격 협진도 가능하다.
국방부 관계자는 “원격진료시스템은 격오지 응급 진료에 대비해 시범 사업을 시작, 지속 확산시키고 있다”면서 “실제 응급 조치가 이뤄지고 후송과 투약 등 군장병 진료에 시스템이 활용되는 등 성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5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투약, 후송, 경과 관찰 등 경증질환 장병 대상 누적 6만2000여건의 원격 진료가 이뤄졌다. 실제 의료 행위로 분류되는 후송과 투약 진료가 각각 3100여건, 1만600여건이었다. 유의미한 결과다. 응급 환자 발생 시 신속한 조치는 물론 법정 감염병 관리 교육이나 건강 상담 등에도 원격진료시스템을 활용한다.
국방부는 향후 원격진료시스템으로 축적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장병 건강·체력관리 분석에 나선다. 질병 조기 발견, 안전한 병영 생활 환경 조성 등 장병 진료 여건을 보장한다. 추가 수요가 있을 경우 대상 부대를 더 확대할 계획이다. 개인정보 유출 등 위험을 해소하기 위해 생체 측정 정보나 진료 기록에 대한 보호 대책을 마련한다.
일반 국민 대상 원격 진료 도입을 미루는 정부에 가로막힌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나 의료IT 기업 등에 테스트베드로 활용할 수 있다. 가용 데이터 확보에도 유리하다. 군대 특성상 특정 연령(20~28세)과 성별(남성)에 집약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빅데이터로의 가치가 크다.
송승재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장은 “진정한 원격 진료를 구현하려면 진단과 처방이 있어야 하고,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 데이터를 받아야 한다”면서 “질병 조기 발견이나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해야 하는데 아픈 장병만 진료 받는 구조에서는 어렵다”고 지적했다. 데이터 기반 원격진료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조언이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