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S 안전강화 조치 후 두번째 화재 발생…업계 촉각

정부가 지난 6월 에너지저장장치(ESS) 안전강화 대책을 발표한 이후 두 건의 화재가 더 발생해 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웠다.

지난 24일 오전 11시 20분께 강원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풍력발전소 ESS 발전실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불이 나 2시간 30여분 만에 꺼졌다. 부상자는 없었지만 이 불로 리튬이온배터리 2700개와 전력변환장치(PCS) 1개 등 발전실 414.3㎡가 모두 탔다.

Photo Image
지난해 한국전력 경산변전소 내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발생한 화재를 이 지역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 중인 모습. <전자신문DB>

이번 화재는 2017년 8월 전북 고창 이후 국내에서 일어난 25번째 ESS 화재이자, 6월 정부 ESS 안전강화 대책 발표 이후 모든 사업장에 대해 전기적 보호장치 등 안전조치를 권고한 이후 발생한 2번째 사고다. 이에 앞서 지난달 30일 충남 예산군 태양광 발전 연계 ESS에서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이번 화재는 LG화학 배터리가 아닌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 ESS로 충전 후 대기상태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동안 삼성SDI 배터리를 탑재한 ESS 화재는 시공 불량이나 작업자 부주의, PCS 파손 등 물리적 화재 원인이 비교적 명확하게 밝혀진 편이었다. 정부 조사 과정에서 LG화학이 만든 일부 배터리 셀 제조 결함이 발견되기도 했지만 삼성SDI 배터리 결함 문제는 밝혀진 바가 없다.

화재가 난 ESS의 설계·조달·시공(EPC)사는 효성중공업으로 화재 위험이 낮다고 알려진 대형 업체다. 또 해당 ESS는 2015년 말 준공돼 4년 가까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던 시설로 확인됐다. 리튬이온 배터리 사용 후 약 3년이 지나면 화재 위험성이 낮아진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다른 결과다.

일각에서는 최근 강한 태풍으로 인한 침수 가능성 등을 거론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인 화재 원인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무리한 운영이나 배터리 수명 등 시스템 문제가 화재 원인으로 다시 대두될 수 있다. 현재 경찰과 소방은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전기적 보호장치에만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이번 사례를 통해 배터리 시스템에 근본 문제가 있는 것 아닌지 재확인해야 한다”면서 “많은 배터리를 직병렬로 연결해 장기 운영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예측하기 어려운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6월 이후 각 사업장에 안전조치 관련 공문을 발송했고 각 업체에서 조치를 한 이후에 전기안전공사에 점검 신청을 하도록 권고했다”면서 “해당 사업장은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돼 어디까지 조치가 됐는지 현재 확인이 어려운 상태”라고 설명했다.


정현정기자 iam@etnews.com,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