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결정 돕는 플랫폼 개발…“오늘 뭐 먹지?” 고민 해결

'오늘 점심은 어디에 가서 뭘 먹을까?' 매일 점심때만 되면 고민이다. 딱히 먹고 싶은 음식이 있는 것도 아니고 동료들 입맛도 다양하다 보니 선뜻 결정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을 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미국 워싱턴 주립대 공동 작품이다.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워싱턴 주립대와 공동으로 여러 명이 입력한 정보를 종합해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 '컴 투게더'를 개발, 포털이나 메신저 서비스와 결합해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Photo Image
모바일 버전 컴 투게더 UI. 음식점 종류와 지역 등 입력으로 가장 적절한 장소 출력까지 가능하다.

'컴 투게더'는 우선 음식점과 같은 '장소' 결정 기능을 중심으로 설계했다. 조만간 여러 장소를 한 번에 정할 수 있도록 기능을 확장할 예정이다. 또 기업에서 복잡한 변수를 감안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업용 의사결정 솔루션도 구현할 계획이다.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은 함께하려는 구성원이 음식점 종류와 가격대, 위치, 음식점 평가 별점 등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토대로 인터넷 서비스에 연동해 가장 적합한 장소를 선별해 제시해준다.

입력한 정보는 모든 구성원이 바로 확인할 수 있고 대화를 나눌 수도 있다. 의사소통을 통해 의견차를 좁혀가며 최적의 장소를 물색해 가는 과정도 거칠 수 있도록 설계했다.

Photo Image
개발에 참여한 KAIST, 워싱턴 주립대 공동연구팀. 사진 왼쪽부터 홍성수(Ray Hong) 워싱턴 주립대 박사, 서민향 워싱턴 주립대 박사과정, 김태수 KAIST 전산학부 학생, 김주호 KAIST 전산학부 교수

김 교수팀은 이 플랫폼을 포털이나 메신저 서비스와 결합해 상용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메신저에는 이미 투표 기능을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있어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주호 교수는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이들의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종합하는 틀을 구성했다”면서 “이를 상용화하면 의사결정 과정의 비효율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대전=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