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상생형 지역일자리 확산 과제는

상생형 지역일자리가 안착하기 위해서는 광주형 일자리가 성공해야 한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선 노조 반발이 거세다. 민주노총은 전체 노동자의 임금 하향평준화와 지역별 저임금 기업유치 무한경쟁을 초래한다며 광주형 일자리를 비롯해 상생형 지역일자리의 즉각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노조가 '나쁜 일자리'로 매도하며 투쟁 수위를 높일 경우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투자금 확보도 관건이다. 광주시는 합작법인의 총 자본금 7000억원 가운데 산업은행 등 금융권을 통해 4200억원을 조달하고 나머지 2800억원은 자기자본으로 충당하겠다는 방침이다. 시 590억원과 현대차 530억원 등 1120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1680억원은 투자자로부터 끌어올 계획이다. 시는 건설업체와 공공기관, 재무 투자자, 시민 공모주를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지자체와 민간 기업, 노조가 함께 추진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인 만큼 선뜻 투자에 나서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또 자동차 산업이 포화 상태인데다 국내 경차 수요도 2012년 이후 급감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없을 것이란 분석도 있다. 지자체가 주도해 자본을 투입하고 경영과 생산, 노사 중재까지 해야 하느냐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도 있다. 공장 설립 이후 안정적인 생산 물량 확보, 생산성 및 경쟁력 유지가 관건이다.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상생형지역일자리특별위원장은 “노사민정 등 지역 경제주체 간 상생협약을 통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는 상생형 지역일자리 확산이 절실하다”면서 “노사민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거버넌스를 구축해 사회적 대화에 기반한 상생형 일자리를 지역에서 많이 만들어 공동으로 고용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