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감성 인공지능(AI)·멀티 클라우드 등 지능형 정부를 구현하고 국민에게 새 가치를 창출하는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을 발표했다.
행안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6일 올해 지능형 정부를 주도할 세 가지 서비스 분야로 알아서 챙겨주는 지능형 서비스, 디지털로 만드는 스마트 업무환경,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보안과 인프라 등을 선정했다.
서비스 분야별 핵심기술로 감성 AI, 비정형 데이터 분석, 반응형 사물인터넷(IoT), AI 윤리가 선정돼 국민을 이해하는 똑똑한 정부 서비스를 제공한다. 감성 AI는 정부 서비스 전반에 확대 중인 대국민 민원 챗봇 서비스 수준을 향상한다. 비정형 데이터 분석과 반응형 IoT는 국민 숨겨진 수요를 파악해 국민이 느끼지 못해도 이미 서비스 받고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안전성과 신뢰성·정확성이 중요시되는 공공서비스에 AI를 도입할 때 지켜야 할 AI 윤리 가이드도 제시한다. 멀티 클라우드, 에지컴퓨팅과 확장현실(XR) 기술로 시·공간 장벽을 없애고 스마트한 업무 환경을 제공한다.
멀티 클라우드는 협업·연계에 부담을 줄이고 서비스 개발기간을 단축하는 것과 동시에 정보 기반 시설 효과적 운영이 가능해진다. 에지컴퓨팅은 클라우드 보완재로써 실시간 업무 대응을 지원한다.
올해부터 중앙부처·지자체 대국민 서비스와 공공기관 모든 서비스는 민간 클라우드 이용이 가능하고 정부 자체의 클라우드 컴퓨팅도 고도화될 예정이다. 안보, 수사·재판, 개인 민감 정보 처리시스템 등은 예외다.
XR 기술은 전화와 이메일 등 이용하거나 현장방문이 필요했던 업무방식에서 기존 영상회의보다 현장감·몰입감 있는 대면형 협업으로 신속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돕는다. 블록체인 플랫폼, AI 자동 보안과 5세대(G)이동통신 기반 시설 기술을 통해 국민에게 편리하고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촘촘한 보안으로 더욱 신뢰받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행안부는 각종 민원서류를 전자증명서로 대체하는 전자증명서플랫폼(전자문서지갑)을 올해 말까지 구축한다. 문서 위변조를 막고 진본 여부를 확인하는 데 블록체인 기술 적용한다.
정윤기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최신 기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고 지능형 정부 기반을 다져가겠다”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