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빅데이터 분석 '경제 홀대' '북한 우선'

자유한국당이 27일 문재인 대통령 일정을 빅데이터 분석해 발표했다. 대통령이 △언제 △어디서 △누구와 △무엇을 △어떻게 하였는지 빅데이터 정량화를 최초 시도했다.

경제현장 목소리 청취 일정은 18회에 그쳤다. 반면 북한 일정은 33회로 많았디.

외교부 장관을 약 100차례 만날 동안 경제부처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각각 53회, 65회에만 봤다.

Photo Image
자유한국당이 2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빅데이터 분석

박성중 한국당 의원과 여의도연구원이 공동연구해 발표한 '빅데이터로 본 문재인 대통령 600일 분석'을 보면, 문 대통령 취임 후 600일 중 160일(26.6%)는 공식일정이 없었다. 연차휴가 21일 제외한 139일은 일정이 공개되지 않았다.

한국당은 문 대통령이 대선후보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 업무시간은 365일, 하루 24시간이다. 업무시간과 직무수행과정을 국민께 소상히 알려야 한다. 내가 대통령이 되면 어느 시각에 어디에서 누구와 무엇을 했는지 24시간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공개일정 2144건 중 1784건(82.2%)는 참석자가 비공개된 일정이었다. 참석자가 공개된 일정 상당수는 '약식' 공개였다.

박성중 의원은 빅데이터로 본 문 대통령의 일정 특징에는 5가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첫 번째는 청와대 여민관 '방콕' 대통령”이라며 “전체 일절 중 55%인 1181건이 여미관이었다”면서 “공개일정 75%(1611건)도 청와대 내부였으며 출입이 제한된 관저 보고도 102건에 달했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현장은 못가도 북한이 먼저다!'라고 규정했다. 경제 현장 목소리 청취 일정은 단 18건에 불과했으나 북한 일정은 33건이나 됐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여수 수산시장(17.10.26), 거제 조선소(18.1.3) 등 문 대통령의 경제현장 방문은 총 18건이라며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인상, 근로시간 단축, 소상공인 폐업으로 현장 민생이 초토화되는 동안 문 대통령은 경제 현장에 없었다”고 말했다.

경제 장관들(산업부 65회·기재부 53회)보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참석자 1위·총 97회)을 더 많이 만나 소통했다고 덧붙였다. 소상공인과의 만남도 단 3건(소상공인연합회 회장 1회·소상공인대표 2회)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세 번째는 '내부보고만 받는 대통령'이라고 했다. 전체 보고 중 청와대 보좌진에게 53%(1153건)을 받았고, 그 중 비서실 보고가 763건(66%)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네 번째는 '식사회동 없는 대통령'이라며 취임 600일 동안 총 1800끼니 중 100회만 식사 회동을 했다고 분석했다.

마지막 다섯 번째는 '정책현장 일정 찾아보기 힘든 대통령'이라고 규정했다. 재난 현장 방문은 3회에 머물렀고, 미세먼지 대책회의도 단 1회에 그쳤다고 했다. 국내일정 230건 중 교육현장 방문 단 3건이며 지난해 10월 '유치원 비리' 사건 이후 불거진 대란에 대한 대통령 현장방문 일정은 한 건도 없었다.

Photo Image
자유한국당이 27일 발표한 문재인 대통령 취임 600일 공식일정 참석자 관계 네트워크

박 의원은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을 만난 일정도 86회로 전체 일정의 4%에 그쳤으며, 제1야당인 한국당 단독회동은 단 한차례였다”고 말했다. 그마저도 대다수 만남이 여당 의원에 치우쳐져 있어 다양한 국민 목소리를 듣는 것엔 한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부연했다.

반면 다수의 연예인은 문 대통령을 만났다고 했다. 가수 레드벨벳과 윤도현, 이선희 등 15명, 영화배우 강동원, 김윤석 등 2명, 김형석 1명 등 총 23명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분석은 2017년 5월 10일부터 2018년 12월 31일(문 대통령 취임 후 601일간)까지의 청와대 공식 홈페이지 '공개일정' 2144건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키워드 수(숫자, 특수기호 등 의미 없는 것 제외)는 장소 4297건, 일정명 6607건, 참석자 3306건 등 총 1만4210건의 키워드 추출 및 분석했다.

안영국 정치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