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제조업 강국 재도약 해법으로 '스마트공장 확산'을 제시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 스마트 산업단지 10개 조성, 운영 인력 10만명 양성 등 계획을 내놨다.
문 대통령은 13일 오전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가 열린 경남 창원 경남도청 대회의실에서 “우리 경제가 어려운 이유는 전통 주력 제조업에서 활력을 잃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혁신 성장과 일자리 만들기를 위한 제조 혁신은 더 이상 미룰 수도 피할 수도 없는 과제”라며 비전을 밝혔다. 창원 행사는 전북 군산과 경북 포항에 이어 세 번째다.
문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독일, 일본, 중국은 제조업을 고도화하기 위한 혁신 경쟁이 한창”이라면서 “우리도 제조 혁신으로 경쟁력을 높이고 제조업 강국으로 재도약할 때”라고 힘줘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제조 혁신 열쇠가 '스마트공장'에 있다고 봤다.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5300개 공장 생산성이 30% 증가했다. 불량률은 45% 감소, 원가는 15% 절감했다. 산업 재해도 22% 줄어 안전성을 입증했다. 지난해 스마트공장 한 곳에서 평균 2.2명 일자리가 늘었고, 종사자 1인당 평균 매출액은 2억8000만원을 기록했다는 점도 높이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스마트공장을 중소기업으로 확산시킬 때”라며 기존 2022년 2만개 구축 계획을 3만개로 확대 설정했다. 종전에는 3만개 달성 시점이 2025년까지였다. 정부는 3월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발표 이후 7800개 스마트공장을 구축·지원하면서 예상보다 빠른 성과를 확인, 목표를 높였다.
정부는 '노동자 중심 스마트공장'을 도입하면서 '일터 혁신'도 약속했다. 스마트공장 운영을 위한 10만명 전문 인력 양성, 스마트공장 공급 기업 1000개 육성, 공정과 품질 개선 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센터 구축 계획도 함께 내놓았다.
노화된 산업단지는 스마트 산단으로 바꾼다.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으로 '스마트 산단 기획단'을 구성, 새해 국가산업단지 두 곳을 선도 산단으로 선정한다. 2022년까지 10개 스마트 산단을 조성한다.
정부는 내년 스마트공장 보급과 스마트산단 추진을 포함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 혁신 예산으로 1조2086억원을 배정했다. 이를 통해 6만6000여개 일자리 창출, 관련 기업 매출 18조원 증가 등을 기대했다.
문 대통령은 “스마트공장도 개별 기업보다 산단 차원으로 추진하는 것이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집약시켜 신공정·신제품 시험 생산 중심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경남이 대한민국 산업화 산실이었듯 중소 제조업 스마트 혁신으로 포용국가 건설에도 앞장서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