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ICT코리아]<8>둔화되는 중소·중견기업 생산성...스마트공장도 '글쎄'

생산성 성장 둔화는 국내 제조업 전반이 직면한 문제지만 중소·중견기업에서 둔화 폭이 더욱 가파르다. 중소 제조현장에서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스마트공장을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려 해도 자금 등 문제로 데이터 수집 인프라조차 갖추지 못한 곳이 많아 지원이 시급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2000년부터 2017년까지 18년간 중소 제조업 부가가치 기준 노동생산성을 집계한 결과 중소제조업 노동생산성을 연평균 3.6%였다. 2000~2009년 연평균 5.2% 노동생산성이 증가한 반면에 2010~2017년에는 연평균 2.1% 성장하는 데 그쳐 둔화세가 두드러졌다.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부가가치 기준)도 벌어졌다. 지난 18년간 제조업 분야 대기업 노동생산성은 2.2배 증가한 반면에 중소제조업은 1.8배 증가하는 데 그쳤다. 중소제조업 노동생산성은 2000년 대기업의 0.38배에서 2017년 0.32배로 낮아졌다.

중소제조업 현장에선 임금상승에 비해 생산성 증가가 더디다고 꼬집는다. 실제 해당 집계에서 18년 동안 노동생산성이 1.8배 늘어날 동안 최저임금은 약 4배 증가했다.

최근 급격한 최저임금 상승과 주 52시간제 도입으로 생산성이 더욱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하다. 국내 중소기업 중 상당수가 반도체·디스플레이·스마트폰·가전·자동차 등 대기업에 부품과 소재를 납품하는 곳이 많다. 산업 특성상 납기를 맞추기 위해 일이 몰린다. 글로벌 시장 역학관계, 계절수요, 경기변동 등에 따라 생산량과 단가도 변화 폭이 크다. 주 단위로 노동시간을 제한하면 일감이 없을 때에도 몰리는 기간을 대비해 더 많은 근로자를 고용해야 한다.

스마트공장으로 대변되는 생산자동화 혁명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기도 쉽지 않다. 영세한 중소기업 특성상 막대한 초기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곳은 많지 않다. 노동력을 지원할 협동로봇도 한 대에 수천만원에 달한다. 산업용 로봇으로는 저렴하지만 생존에 허덕이는 상황에서 대규모 도입이 만만치 않다. 같은 이유로 스마트공장 토대가 되는 데이터수집 역량조차 갖추지 못한 곳이 많다. 제조현장의 디지털화부터 정부가 체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중소 제조기업 대표는 “대기업 신제품에 쓰일 소재부품을 연구개발(R&D)하는 데 투자할 여력도 빠듯하다”면서 “협동로봇,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 등으로 제조업 생산성이 확대될 것이라고 하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 체감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표>2000~2017년 중소 제조업 노동생산성(자료:중소기업중앙회)

[벼랑 끝 ICT코리아]<8>둔화되는 중소·중견기업 생산성...스마트공장도 '글쎄'

오대석기자 ods@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