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복혈당 변화가 크면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 발병과 사망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중앙대학교병원(원장 김명남)은 이경실 건강증신센터 교수팀과 박상민 서울대병원 교수팀이 '공복혈당 변화에 따른 심근경색, 뇌중중 및 사망위험' 논문을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경실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건강검진 빅데이터를 활용해 당뇨병, 심혈관질환이 없는 40세 이상 한국 성인 26만487명을 2년간 조사했다. 공복혈당 변화가 8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 사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추적 관찰했다.
공복혈당이 100mg/dL 미만인 경우 정상이며, 100~126mg/dL인 경우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126mg/dL 이상인 경우 당뇨로 의심한다. 이번 연구에는 정상, 공복혈당장애, 당뇨의심 등 공복혈당검사 결과가 2년 후 어떻게 변했는지에 따라 10년 뒤 심혈관질환, 총 사망위험을 분석했다.
2년 간격으로 두 번 건강점진에서 모두 공복혈당이 정상으로 나온 사람에 비해 정상이었다가 당뇨의심 진단을 받은 사람은 8년 뒤 뇌졸중 위험이 약 20% 증가했다. 총 사망위험은 56% 상승했다.
2년간 검사에서 계속 공복혈당장애(당뇨전단계) 판정을 받은 사람에 비해 공복혈당장애에서 2년 뒤에 당뇨의심 판정을 받은 사람은 심근경색 위험이 65%, 총 사망 위험이 16% 상승했다. 당뇨나 심혈관질환이 전혀 없는 사람도 공복혈당이 높아질 경우 심근경색, 뇌졸중, 사망위험이 높아졌다.
이경실 교수는 “당뇨가 없는 일반인도 혈당이 높아질 경우 심근경색 및 뇌졸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면서 “혈당 조절을 통한 심혈관질환 예방을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학회지(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jungyc@etnews.com